1999년 발행된 한국철도청 '사진으로 본 한국철도 100년' 중 1938년 대전 철도관사 단지 모습이다. |
소제동이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고 이른바 '핫플레이스'가 된 건 카페와 맛집으로 변한 최근 1~2년 사이의 일이다. 소제동의 긴 역사를 봤을 때 상업화된 동네의 모습은 철도관사촌이라는 역사를 추적해 연구하고 보존하려는 다수의 사람에게는 그저 씁쓸한 변주(變奏)에 불과하다.
소제동 철도관사촌은 곧 사라질 가능성이 크다. 누가 살았고, 어떤 형태로 지어졌고, 왜 기록과 보존 논의 없이 철거됐는지를 공식적인 연구와 분석이 우선되지 않는다면 소제동 철도관사촌은 수많은 의문을 남겨둔 채 사라질 게 분명하다.
소제동과 관련된 기록을 찾는 일은 쉽지 않다. 50여 년 소제동에 사는 주민들이 있지만, 철도관사촌에 대한 기억을 기록화하기에는 역부족이다.
극히 일부지만 소제동에 대한 기억과 기록은 몇몇 책자와 자료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2019년 한국철도협회가 발행한 '신한국철도사', 이영남·정재정 교수가 쓴 '일제하 서울의 대단위 철도관사단지의 조성과 소멸'에 대한 논문, 2013년 대전시가 발행한 '소제동(근대 이행기, 대전의 역사와 경관)'이 대표적이다.
철도관사촌은 서울을 비롯해 20개 도시에 있었는데 대전은 정동과 소제동에 관사촌이 밀집해 있었다. 일제강점기부터 광복 이후 대전 동구 주변 철도관사촌에는 2000명 이상의 철도종사원과 가족들이 살았다는 기록이 있다.
대전철도관사단지지도 1928 일제하 서울의 대단위 철도관사단지의 조성과 소멸 논문에 담긴 대전 철도관사단지 지도. 당시 관사촌은 크게 세 구역으로 나뉘었다. |
대전의 역사와 문화재를 차례대로 담아낸 '소제동(대표 집필 대전근대아카이브즈포럼 고윤수·이희준)' 책자에는 민간에서는 처음으로 소제동 관사촌을 실측한 귀중한 자료가 담겼다. 실측을 통해 소제동 299-110번지 주택은 1939년 지어졌고, 대지면적과 건축면적이 각각 288㎡, 59㎡로 7등급 관사에 해당함을 밝혀냈다. 철도관사는 직급에 따라 다른 규모로 지어졌는데 7등급 관사는 '판임관', '고원'이라는 직급이 살았다.
저자 이희준 교수는 "대전의 경우 1940년 7월에 철도사무소가 조직됐기 때문에 4등급 철도관사도 지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 남아있는 철도관사는 6~8등급 관사만 확인된다"고 했다.
타 지역에 비해 극히 일부 남은 철도관사촌이 위태롭게 유지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관 주도로 관사촌을 실측하고 기록과 보존의 기초 자료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이유다.
해방 이후 전국의 철도관사촌은 미군 귀속과정을 거쳐 정부수립 후 국유재산이 됐는데, 일반 공무원의 관사제도가 폐지되면서 차츰 민간 불하(매각) 과정을 밟았다. 대전에서도 민간에 불하되면서 소제동은 사실상 기록의 타이밍을 놓치게 된 것이 가장 아쉬운 대목이다.
1910년 경부선 대전역 주변(사진으로보는철도100년) |
전문가들은 소제동을 기록하기 위해서는 자료 발굴과 지역학 연구가 필요하다고 했다.
안여종 문화유산 울림 대표는 "소제동과 관련해 어떤 자료들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관사 운영과 관련된 기록물, 1호부터 시작해 초창기 누가 살았는지, 불하 됐을 때 누구에게 매매 됐는가에 대한 기록들이 필요하다. 일제 당시 자료기 때문에 꼼꼼하게 기록된 자료가 관이나 관계 기관에 분명히 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이용상 교수는 "근대 속 역사를 발굴하고 미래를 바라볼 수 있는 키워드를 찾아 내는 것은 대전학과 지역학이 뿌리가 되어야 한다"고 기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