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희(대전동명초 교감) |
나를 들여다보면 내 안에 또 다른 내가 너무 많다. 나 자신에 누군가의 딸, 누이, 언니, 아내, 엄마, 교사, 친구, 동아리 회원, 지역 주민, 대한민국 국민 등 이루 말할 수 없는 역할을 수행하는 내가 더해져 있다. 게다가 나의 무의식 어딘가에는 어린 시절 어떤 한 시점에 머물러 성장하지 않고 있는 기쁜 아이, 슬픈 아이, 상처받은 아이 등 다양한 내면아이가 있다. 어느 모습이 진정한 내 모습일까? 있는 그대로의 내 모습이 과연 있기는 할까? 나 자신도 잘 모르면서 다른 사람의 인생에 너무 개입하는 것은 아닐까? 있는 그대로의 내 모습을 알고 수용하는 것이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일이고, 다른 사람과 긍정적 관계를 맺는 출발점이다. 있는 그대로의 '나'를 정의하면 그것이 나의 정체성이 된다.
나를 단어나 문장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때 동물에 비유하면 자신의 정체성을 쉽게 정의할 수 있다.
현재의 나는 코끼리이다. 그 이유는 코끼리는 가족을 소중하게 여기며 무리 생활을 한다. '정글북'에서 코끼리는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신의 영역에 살고 있다.
어릴 때 나는 겨울잠을 자는 곰이었다. 주변에서 귀찮게 하는 게 싫어서 그냥 자는 것이 오히려 편하고 좋았다. 하지만 곰이 기지개를 켜고 일어나 무슨 일을 할지 아무도 모른다. 곰이 가진 잠재력은 대단하니까.
이렇게 표현한 '나'는 어린 시절 가족 구성원에게 지지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현실을 회피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가족과 행복한 삶을 소중하게 여기는 현재'나'의 무의식에서 어린 시절 상처받은 내면아이가 성장하지 못한 채 함께 살고 있다. 이 내면아이를 보듬어 안을 때 현재의 '나'는 진정한 행복을 찾을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나'에 대해 스스로 혹은 친구와 함께 대화를 나누면 현재 '나'의 진면목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많은 심리검사도구를 통해 나 자신의 기본 성향을 파악할 수 있다.
올해 우리 학교는 절반이 넘는 선생님이 새로 부임했다. 소규모학교라서 서로를 파악하고 관계를 맺고 소통하는 데 그리 오래 걸리지 않을 거라는 생각이 있었지만 그래도 시작을 새로운 방식으로 하고 싶었다. 그래서 MBTI 성격유형 검사를 하고 워크숍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첫 대면을 가졌다. 선생님들끼리는 서로 아는 사람도 있었지만 낯선 사람이 더 많았다. 특히 내 경우는 새로 오는 선생님 중 안면이 있는 사람이 한 명도 없었다.
검사 결과 외향형보다 내향형의 선생님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직관보다는 경험을 중시하고, 개방적이고 충동적이기보다는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성향의 선생님들이 많았다. 아무래도 교사 집단이니까 그럴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2020학년도가 시작된 지 벌써 3개월이 지났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날마다 새로운 일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우리 학교 선생님들은 잦은 회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 어떤 날은 한 시간 이상 회의를 하기도 하는데 그 모습이 2월에 함께했던 워크숍의 모습과 닮아있다. 개인이 가진 기본적인 성격유형에 대한 이해와 상대방의 서로 다른 유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소통하는 동명의 교직원들을 보면서 있는 그대로의 나를 알면 행복할 수 있다는 증거를 확인하고 있다.
'나를 안다는 것' 이것은 역설적으로 다른 사람을 알게 되고, 더욱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한 첫걸음이 된다. 코로나19로 인해 물리적 거리가 멀어진 지금 마음이 가까워지기 위해 꼭 필요한 과정이 아닐까 싶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