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도시공사 유영균 사장 |
나 같은 소시민에게 코로나 이후는 개인의 위생과 안전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정도가 되겠지만 기업과 국가의 포스트 코로나는 그렇게 단순하지 않은 모양이다.
관련된 파생어도 여럿이다. Google에서 'post-COVID'를 치면 'post-COVID new normal'이란 연관검색어가 뜬다.
'코로나19 이후의 변화와 새로운 기준'정도로 해석하면 될 듯 한데 바로 그 새로운 기준이 몰고 올 파장이 포스트 코로나의 핵심이다.
'언택트(untact)'란 단어도 부상하고 있는데 접촉, 대면을 뜻하는 콘택트(contact)의 반대 개념이다. 언택트 산업, 언택트 의료, 언택트 쇼핑 등의 용어에 적용되고 있다. 굳이 소비자가 제품의 생산자 또는 서비스의 제공자와 같은 공간에서 대면하지 않아도 상품과 서비스가 유통되는 상황을 말한다.
미국에서는 이미 온라인으로 영업하는 아마존의 매출이 세계최대 수퍼마켓 체인 월마트 제쳤고 일본에서는 휴대전화나 PC의 화면으로 환자와 의사가 만나 처방이 이루어지는 원격진료가 호응을 얻어가는 중이다. 온택트(ontact)란 신조어도 있는데 말 그대로 온라인상의 접촉을 말한다.
미국처럼 효율성을 극단적으로 중시하는 사회는 벌써부터 이런 저런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세계적 IT기업인 트위터는 직원들에게 코로나 이후에도 무제한 재택근무를 허용하기로 했고 페이스북도 유사한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한다.
사무실 책상에 얼마나 오래 앉아있느냐로 성실성을 평가하던 시절은 지나갔고 어디에서 일하던 높은 성과를 만들어 내는 역량이 우대받는 시대로 진입하고 있는 것이다.
상하관계가 뚜렷하고 집단의식이 강한 우리사회가 이런 변화를 받아들이기 쉽지 않을 것 같지만 많은 기업들이 재택이나 비대면 근무를 시작했고 그런 방식이 생산성의 저하를 유발하지 않는다는 것이 증명된다면 확산에 가속이 붙을 것이다.
'카카오가 현대차보다 비싸다' 며칠전 어느 신문의 머릿기사 제목은 코로나가 몰고 온 변화를 단적으로 설명해 주고 있다.
상장기업의 주식 시가총액을 계산해보니 IT기업인 카카오가 현대차보다 비싸졌다는 것이다. 기업의 외형적 규모, 협력업체수, 관련산업 등을 따져볼 때 도저히 비교가 안될 것 같지만 투자자들은 매출이 25배나 많은 현대차보다 카카오의 미래를 밝게 전망하면서 기꺼이 비싼 가격으로 주식을 매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코로나 발생 이후 시가총액 기준 우리나라 10대 기업 중 9개가 바이오, IT 등 신기술 관련으로 재편됐다고 한다.
전통적으로 우리사회를 지탱해 오던 철강, 자동차, 전자, 조선의 4대 제조업의 시대가 종막을 맞이하고 바야흐로 기술과 창의력을 기반으로 하는 4차산업혁명 시대로 진입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추세에 코로나 사태가 가속도를 붙이며 신구(新舊)를 구분하는 경계선이 되고 있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포스트 코로나가 불러온 변화는 국가간 또는 거대 기업간의 경쟁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지방과 공공부문이라고 포스트 코로나의 바람을 피해갈 수는 없다.
공공부문은 변화의 속도가 느리고 수동적이라는 지적을 받아왔지만 포스트 코로나에 있어서만은 사회의 변화에 보폭을 맞추며 기민한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다.
대전시도 발 빠르게 기획단을 출범시켜 변화에 대응하는 중이다. 기왕에 4차산업혁명 특별시를 선언한 바 있으니 포스트 코로나라는 변화의 큰 흐름에 올라타 도시의 경쟁력과 시민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정책과 비전을 만들어주기 기대해 본다. 시민의 관심과 참여는 바로 이런 분야에 필요하지 않을까. 유영균 대전도시공사 사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