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린고비'는 지독하게 인색(吝嗇)한 사람을 비유한 말이다.
본래의 뜻은 부모님 기제사(忌祭祀) 때마다 쓰는 지방(紙榜)을 매년 새 종이에 쓰는 것이 아까워서 한 번 쓴 지방을 기름에 절여두었다가 매년 같은 지방을 썼다는 고사에서 유래 했다고 한다.
'자린'은 '기름에 절인 종이'에서 '절인'의 소리만 취한 한자어이고 '고비(考?)'는 돌아가신 부모님을 가리키는 말로 자린고비는 '기름에 절인 지방'을 가리키는 말이다.
충북 음성(陰城)에 조륵(趙?)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가 얼마나 구두쇠였나 하면, 쇠파리가 그 집 장(醬)독에 앉았다가 날아가자 다리에 묻은 장이 아깝다고 "저 장 도둑놈 잡아라." 하고 외치며 단양(丹陽) 장벽루까지 파리를 쫓아갔다. 장벽루라는 명칭도 쇠파리에 뭍어 온 장(醬) 때문에 얻은 이름이 아닌가 생각된다.
나아가 조륵은 무더운 여름철이 되어 어쩌다 부채를 하나 장만하면, 부채가 닳을까 봐 부채를 흔드는 게 아니라 부채를 얼굴에 대고 머리만 흔들었다고 한다.
어느날은 동네 사람이 어쩌나 보려고 생선 한 마리를 조륵의 집 마당으로 던졌는데, 이것을 발견한 조륵이 "밥 도둑놈이 들어왔다!" 하고 법석을 떨면서 냉큼 집어 문밖으로 내던졌다.
조륵은 일 년에 딱 한 번 생선 한 마리를 사는데, 아버님, 어머님 제사상에 놓을 굴비였다. 그리하여 제사를 지내고는 굴비를 천장에 매달아 놓고, 밥 한 숟가락 뜨고 굴비 보고 밥 먹고, 또 밥 한 숟가락 뜨고 굴비를 보고 밥을 먹었다.
어느 날 큰 아들이 굴비를 두 번 쳐다보자 작은 아들이 "형이 두 번 쳐다봤어요!"라고 고자질 하자 자린고비가 "놔둬라, 오늘 형 생일이잖아"라고 말했다는 지독한 구두쇠이다.
어느 날은 장모가 놀러왔다가 인절미 남은 것을 몇 개 싸 갔는데, 나중에 알고는 기어코 쫓아가 다시 빼앗아 왔다. 그리고 언젠가는 그가 마당을 쓸고 있는데, 조기 장수가 와서 조기를 사라고 하였다. 그는 조기를 살듯이 이놈 저놈 만지면서 조기의 비늘과 짭짤한 간을 손에 잔뜩 묻혔다. 그는 안으로 들어가 손을 씻은 다음, 그 물을 아내에게 주면서 조기 국을 끓이라고 하였다.
이렇게 해서 그는 만석꾼의 큰 부자가 되었다.
어느덧 조륵이 자린고비로 전국 방방곡곡에 소문이 날 대로 난 어느 날, 전라도에서 유명한 구두쇠가 찾아와서 "조선생, 나도 전라도에서는 소문난 구두쇠인데, 어느 정도 구두쇠여야 당신 같은 큰 부자가 될 수 있습니까?" 하고 물었다. 그러자 조륵은 전라도 구두쇠가 묻는 말에 쓰다 달다는 말도 없이 한참을 있다가, "그러면 나와 같이 나갑시다." 하고는 전라도 구두쇠를 데리고 충주 탄금대(彈琴臺)까지 갔다. 가는 길에 전라도 구두쇠는 신발을 아낀다고 교대로 한 짝은 신고 한 짝은 들고 가는데, 조륵은 아예 신발 두 짝을 모두 들고 갔다. 그것만 봐도 조륵이 한 등급 높은 자린고비가 분명했다. (전라도 구두쇠와의 이야기는 다음 주 화요일에 이어집니다.)
청주(淸州)에 사는 노인 몇 사람이 구두쇠 이야기를 듣고, 놀려줄 요량으로 그를 찾아갔다. 노인들은 그와 인사를 나누고는 눈물을 흘리며 슬피 울었다. 조륵이 깜짝 놀라 우는 까닭을 물으니 한 노인이 말했다.
"우리가 오다가 상여(喪輿)를 보았는데, 상여 양쪽으로 시신(屍身)의 손이 나와 있습디다. 깜짝 놀라 상주에게 그 연유를 물었더니, 죽은 사람은 큰 부자였는데. 그는 재산을 모으느라고 제대로 먹지도 못하고, 입지도 못하며 살았고, 죽을 때에는 아무 것도 가지고 가지 못하는 것을 생각하니 기가 막혔답니다. 그래서 자식들에게 유언(遺言)하기를 '내가 죽거든 관(棺)의 양쪽에 구멍을 내고 손을 내놓아서 내가 빈손으로 왔다가 빈손으로 간다는 사실을 여러 사람에게 알리도록 하라.'고 하였답니다. 그래서 고인의 유언대로 한 것이라고 하더군요. 오다가 만난 상여를 생각하니,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하는 인생이 하도 무상(無常)하고 슬퍼서 웁니다."
이 말을 들은 자린고비는 깊이 깨달은 바 있어서 노인들을 며칠 묵게 하면서 후히 대접하고, 갈 때에는 노자(路資)까지 주었다. 그 후로 자린고비는 가난한 사람을 돕는 일에 재물을 아끼지 않았다 한다.
우리나라는 박정희 대통령의 통치능력으로 인해 8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세계경제대국 진입의 문턱에 들어섰다. 이를 이룩하기 위한 당시 정부와 국민의 아끼고 모으는 노력은 가히 눈물겹다는 말 외에는 달리 표현할 방법이 없다. 그 당시에는 모두들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였고, 아껴서 늘리는 희망에 고된 줄조차 몰랐다. 지금의 경제적 풍요(豊饒)는 그 당시 노력의 바탕에 의해 이룩된 것이다.
지금은 어떠한가? 사치와 낭비가 만연되고 황금만능이 문화가 되어버린 사회가 되었다. 그러나 사치와 낭비가 몸에 배어사는 안 된다. 언제 무슨 일로 경제가 요동칠지 모르기 때문이다. 어쩌면 '코로나19'가 그 시기를 경고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요즈음 처해진 상황을 생각하니 '수건 쓴 놈이 힘써서 벌어놓으니 갓 쓴 놈이 다 털어 먹는다',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때국 놈이 먹는다'는 말이 생각나 겉으로는 웃지만 속으로는 참으로 답답한 심정이다.
장상현/ 인문학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