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혁 작곡가 |
"다시 저 점을 보라. 저것이 우리의 고향이다. 저것이 우리다. 당신이 사랑하는 모든 사람들, 당신이 아는 모든 이들, 예전에 삶을 영위했던 모든 인류들이 바로 저기에서 살았다."
우주라는 광활한 공간에서 지구라는 작은 행성에서 만난 우리들은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가? 그렇기에 우리는 서로를 존중하며 사랑하며 살아야한다. 그런데 삶속에서 우리는 때때로 어려움을 만난다. 코로나 19가 그것이다. 인류가 처음 겪는 이 코로나 19로 인해 인류는 전염에서 오는 공포와 스트레스, 단절에서 오는 외로움을 경험하고 있다. 코로나로 인해 개인 간의 만남과 단체의 모임이 힘들어졌으며 국가 간의 왕래가 멈췄다. 이로 인해 인류는 고통 속에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음악은 위안과 힘이 되며 마음을 치유한다.
예를 들어 Bach의 G 선상의 아리아와 Chopin의 녹턴 1·2번을 통해 정서를 순화 시킬 수 있다. Beethoven의 합창 교향곡 4악장은 환희와 용기를 준다. 또 Mozart의 성가 Laudate Dominum(주를 찬양하라)나 나운영의 가곡 '여호와는 나의 목자시니' 그리고 우리 가곡을 듣는다면 마음이 차분해지며 위안과 평안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 힘이 되는 클래식들이 많이 있다. 이렇게 음악은 우리에게 힘을 준다. 이는 음악이 갖고 있는 소통에서 오는 힘이다.
음악엔 세 가지 형태가 있다. 작곡, 연주, 감상이다. 음악을 작곡을 하고 그 곡을 연주하고 연주를 감상하는 것을 뜻 한다. 여기엔 음악을 통한 소통이 내재되어있다. 무언의 대화를 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우리는 연주회장에서 단순히 음악 감상자가 아닌 소통자로 참여하는 거다. 그런데 코로나로 인해 이마저 어려움에 처해있다. 대부분 연주회가 취소되거나 연기 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클래식 음악가들은 youtube 등의 인터넷 연주회 중계 또는 생활 속 거리두기를 엄격히 지키는 음악회를 열거나 준비하고 있다. 그리고 '코로나 19 극복'을 위한 창작곡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음악회도 어렵게 열리고 있다. 그렇다면 왜 현재 음악가들의 연주를 들어야 할까? 음악은 소통하는 것이다. 우리 시대 즉 현재 삶을 살아가는 음악가들의 음악은 현재 우리의 문제를 같이 경험하고 있고 그 경험이 음악과 함께 표현되기 때문이다.
해외에선 다니엘 바랜 보임, 발렌티나 리시차, 안네 소피 무터, 우리나라의 백건우, 조성진 등의 음악가들이 온라인을 통해 청중을 만나고 있다. 우리나라를 보자. 우리나라 안에 있는 음악가들은 지금의 어려움을 같은 공간에서 같이 격고 있으며 그 상황 속에서 나오는 음악이다. 그렇기에 그들의 연주는 더 깊은 교감을 이끌어낸다. 각 시도의 국공립 예술단은 앞서 말한 여러 형태로 청중에 다가가고 있다. 대전 역시 대전 시립 예술단, 대전예술의 전당, 민간 예술단체들이 여러 기획 공연을 만들어 대전의 시민들을 위해 음악을 준비하고 있으며 실행하고 있다. 우리는 음악으로 소통하며 함께 코로나의 어려움들을 극복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앞서 언급한 광활한 우주 속 '창백한 푸른 점'으로 돌아가자. 우주안의 '창백한 푸른 점' 지구 그 안의 동북아 그리고 다시 대한민국. 우리나라 공간 안의 우리들은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가? 그 속에서 어려움을 같이 극복하며 그 가운데 우리에게 용기를 주려는 음악가들은 얼마나 고마운 존재들인가? 그들이 연주하는 음악은 분명히 위안과 용기를 줄 것이다. 우리의 음악가들은 준비하고 여러분들을 기다린다. 이제 여러분들이 음악가들에게 다가 갈 차례다. 인터넷으로 또는 생활 속 거리두기 안의 음악회장 안으로. 그리고 같이 코로나 19를 극복해보자.
안성혁 작곡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