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양대병원 신경과 윤보라 교수 |
치매의 증상과 원인 질병에 대해 건양대병원 신경과 윤보라 교수의 도움말로 알아봤다. <편집자 주>
▲치매의 증상은
가장 흔한 증상은 기억장애이다. 전화번호나 사람 이름을 잃어버리고 약속을 깜빡하거나 약을 먹는 시간을 놓칠 수도 있다.
어떤 일이 언제 일어났는지 기억하지 못하고 같은 질문이나 이야기를 반복하는 경향이 있다. 물건을 어디에 두었는지 몰라 찾을 때가 빈번해지고, 최근 기억보다 아주 젊었을 때나 오래전에 일어났던 일들을 잘 기억하는 편이다.
따라서 옛날 일을 잘 기억하기 때문에 기억력이 좋다고 생각하는 것은 큰 오산이다.
다른 증상으로는 언어장애가 올 수 있다. 사물의 이름이 금방 떠오르지 않는다거나 적절한 표현을 찾지 못하는 현상이 두드러진다.
이와 함께 읽기, 쓰기의 장애도 나타난다. 공간지각능력이 떨어져 방향감각이 떨어지거나 심해지면 길을 잃고 헤맬 수 있다.
또한, 물건을 살 때 돈 계산이 틀리거나 돈 관리하는데 실수가 잦아진다.
성격과 감정에도 변화가 생긴다. 꼼꼼하고 예민하던 사람이 느긋해 진다거나 말이 많고 사교적이던 사람이 말수가 적어지거나 표정이 없어지고 집안에만 있기를 좋아한다 던가 매사에 의욕적이던 사람이 흥미를 잃기도 한다.
생각이 단순해지고 이기적으로 변할 수 있고 남을 의심하는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이전에는 매우 깔끔하던 사람이 세수나 목욕을 게을리하는 등 개인위생이 떨어질 수 있다.
▲건망증과 기억장애와 치매와의 관계는
건망증이란 어떤 사실을 잊었더라고 누가 귀띔을 해주면 금방 기억해 내는 현상으로 흔히 정상인에게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기억장애는 귀띔을 해주어도 기억하지 못하는 현상으로 건망증보다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기억장애 외에도 방향감각 저하, 판단력 저하 등 다른 사고력에도 장애를 보일 때가 있을 때 비로소 치매라고 한다. 단순 기억장애에서 치매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기억장애가 있을 때 반드시 검사를 받아 보는 것이 좋다.
기억장애가 수개월을 두고 갈수록 심해지거나 다른 판단력이나 사고력의 저하가 동반됐을 때 특히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치매가 있는지 없는지 어떻게 아는가?
치매를 좀 더 자세히 정의하자면 환자가 기억장애, 언어장애, 시· 공간능력의 저하, 성격 및 감정의 변화, 그밖에 추상적 사고 장애, 계산력 저하 등 뇌의 여러 기능이 전반적으로 떨어져야만 치매라고 할 수 있다.
이런 뇌의 인지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검사자와 환자가 마주 앉아서 대화도 해보고 환자분으로 하여금 글씨를 쓰고 그림도 그리게 해 보아야 한다.
여러 자극을 제시하고 이런 것을 얼마나 잘 기억하는지도 보아야 한다. 이런 검사들을 신경 심리검사라고 한다. 예를 들어 다른 기능은 다 좋으나 기억력만 떨어져 있는 경우는 치매가 아닐 가능성이 크다.
또 다른 기능은 다 좋은데 언어기능만 소실되면 치매라기보다는 실어증이라고 해야 옳다. 따라서 이와 같은 신경학적 검사와 신경 심리검사, 언어검사는 뇌 영상검사(CT, MRI, PET)이나 혈액검사와 함께 치매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치매를 일으키는 원인 질병은 무엇인가?
많은 사람이 치매를 한 가지 병으로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치매는 진단명이 아니라 두통처럼 일종의 증상이고 두통을 일으키는 원인, 증상이 수없이 많은 것처럼 치매의 원인은 실로 다양하다.
즉, 퇴행성질환 (대표적으로 알츠하이머병), 뇌혈관 질환 (혈관성치매), 대사성질환, 내분비 질환, 감염성 질환, 중독성 질환, 경련성 질환, 뇌 수두증, 뇌 종양등 무수히 많다. 이 중에서 제일 많은 원인은 알츠하이머병과 혈관성치매다. 이들이 전체 치매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80~90%이다.
위에 열거한 여러 가지 질환 중 퇴행성 질환을 제외하고는 치료할 수 있거나 조기에 발견하면 더 이상의 진행을 막을 수 있는 치매가 많다.
수두증(뇌에 물이 차는 병), 뇌 양성종양, 갑상선질환, 신경계 감염, 비타민 부족증에 의한 치매는 전체 치매의 10~15%를 차지하며 치료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 많은 혈관성치매의 경우 조기에 발견하면 더 이상의 진행을 막을 수 있고 예방할 수 있다./신가람 기자 shin969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