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은 각 분야나 장르가 이합집산을 거듭한다. 흩어지기도 하고 때로는 모이기도 한다. 따라서 추구하는 바가 크게 다르지 않다. 방법이나 도구, 이용 소재(素材)가 다를 뿐 각기 아름다움을 궁구하기는 마찬가지다.
SNS가 보편화 되면서 협업(collaboration)이 눈길을 끈다. 본래 마케팅 기법의 하나로 시작된 모양이다. 다른 업종, 기업 간 공동작업을 통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다. 물질과 이미지, 물질과 물질, 이미지와 이미지가 통폐합되기도 한다. 예술계에도 콜라보레이션 바람이 분다. 다른 분야나 다른 장르의 예술가가 공동작업으로 새로운 아름다움과 감동을 선사한다. 공동작업이 아니라도 작가는 충분히 고뇌한다. 그러나 콜라보레이션으로 보다 그 영역이 넓혀지고 깊이가 더해짐은 이론의 여지가 없다.
어떤 제재로 주제를 표현하는 것이 좋을까? 신변잡기에서부터 인류, 우주 삼라만상의 진리에 이르기까지 선택의 문제이지 선악은 없다. 다만, 보다 넓은 안목과 철학, 역사 인식이 함께하면 좋지 않을까? 예술에는 작가의 혼이 담긴다. 자신의 이상을 투영하고자 한다. 그러면서 감상자와의 소통과 심상에도 할애한다. 그런 연유로 작품은 인간 정신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새롭게 규명되어 부각 되었을 뿐, 인간사에 늘 있어 온 일이다. 동양에서는 시화일치(詩畵一致)라 하여 시와 그림이 하나라는 견해도 있었다. 시화일률(詩畵一律)을 동아시아 회화의 핵심개념 중 하나로 보기도 한다. 중국 당대(唐代) 서화론가 장언원(張彦遠)은 『역대명화기(歷代名?記)』 1권 에서 "글과 그림은 각자 다른 이름을 지녔지만 공통된 근원을 가진다." 했다. 소동파로 우리에게 더 잘 알려진 중국 송대 종합 예술가 소식(蘇軾)이 중국 당대(唐代) 시인이며 문인화가인 왕유(王維)의 시와 그림을 평하여 "글 가운데 그림이 있고, 그림 가운데 시가 있다."라고 했다 한다. "시와 그림은 본래 한 가지 이치(詩書畵本一律)"라 하며, "시로 모두 표현할 수 없으면 그것이 넘쳐 서예가 되고, 그것이 변해 그림이 된다(詩不能盡, 溢而爲書, 變而爲畵)"라고도 했다. 곽희(郭熙)의 아들 곽사(郭思)의 『임천고치(林泉高致)』에도 나타난다. "시는 형상이 없는 그림이고 그림은 형상이 있는 시다(詩是無形?,?是有形詩)."
동양에서만 그러한 것은 아니다. 그리스 시인 시모니데스(Simonides von Keos, BC556 ~ BC468?)의 "시는 말하는 그림이고, 그림은 말 없는 시다."를 비롯, 이탈리아 서정시인 호라티우스는(Quintus Horatius Flaccus, BC65 ~ BC8)는 "시는 회화와 같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물론 서로 우월성을 따지거나 경쟁적 관점으로 보는 견해도 많이 있다.
동양 그림에서는 그러한 관계를 형상화하려는 시도가 많았다. 못지않게 그림을 시로 쓴 경우도 많다. 각 분야나 장르가 갖는 표현의 한계에 따라 상호보완적이라 보기도 한다. 전하는 수많은 작품이, 시가 그림 소재로, 그림이 시의 소재로 적극적으로 활용된 것을 대변한다. 시가 그림의 소재로 사용된 것이 시의도(詩意圖)이며, 특히 산수인물화에 많이 나타난다. 산수인물화에는 많은 이야기가 담겨있다. 때로는 진리나 도가 담기기도, 등장인물이나 작가의 철학이 담기기도 한다. 때문에, 쉽게 다가갈 수 있으나, 형상 없는 추상화 못지않게 감상이 어렵다.
감상이 문제가 아니다. 화가는 그림으로 말하면 된다. 시인은 시로서 말하면 된다. 중언부언할 필요가 없다는 생각, 화석화된 고정관념이 문제였다. 작가 의식도 살필 필요가 있다. 예술은 박제화된 박물관 유품이 아니다. 물론, 어떻게든 자신의 고유 소통 수단으로 이상을 추구하려는 노력도 소중하다. 그러나 열린 사고가 소통 수단을 더욱 풍요롭게 한다는 것은 명약관화해 보인다. 이미 다양한 통폐합이 진행되어왔다. 매체 간 넘나들기(Ekphrasis)도 있다. 연상법, 수달법도 유사하면서 관계가 있다. 끊임없는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반응하고 그러한 반응이 인상으로 남아 영역과 토대가 넓어지기 때문이다. 그를 통하여 자신이 확장되고 확산되는 것이다.
자기 일에 몰두하다 보면 관념의 벽에 갇히게 된다. 요즘 같은 물리적 거리 두기에 문득, 염려되는 바가 크다. 다른 분야를 통한 작품구상은 물론, 익숙함에서 이탈하기, 뒤집거나 다른 각도로 보기, 색안경 같은 이물질로 투영해 보기, 낯설어지기를 끊임없이 시도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한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