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역세권 민자유치 개발사업 위치도. |
대전시는 구도심의 상권과 인구가 이탈하지 않도록 도시기능을 유지하는 대체수단으로 혁신도시와 역세권 개발 카드를 꺼냈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혁신도시가 지정되지 않은 대전·충남은 그동안 역차별을 받았지만 관련 법('국가균형발전특별법' 개정)이 통과된 만큼 지역에도 기회가 주어질 것으로 보인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오는 28일 1차 혁신도시 사업 성과에 대한 평가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를 계기로 ‘혁신도시 시즌2’ 사업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대전시가 지난 12일 원도심 활성화와 동서 균형발전을 고려해 동구 대전역세권지구와 대덕구 연축지구를 혁신도시 입지 예정지로 선정했다.
혁신도시 성공은 주요 공공기관 유치와 관련 사업 연계를 위한 인프라 구축이다. 시는 중소기업은행과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등 중소기업과 교통·지식·과학 산업 관련 공공기관을 유치하겠다는 복안이다. 이를 위해 치밀한 유치 전략은 물론 정계와 민관이 함께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대전역세권 민자유치 개발사업도 반드시 성공해야 한다. 1조원 규모의 대전역세권 개발사업은 2009년 5월 대전역세권 촉진지구로 지정된 3개 구역 중 코레일이 86%를 소유한 중앙·소제동 일대 복합2구역(3만2444㎡)을 상업·업무·숙박·컨벤션 기능을 갖춘 복합 광역 생활권으로 개발하는 사업이다.
그동안 3차례 공모에서 민간 사업자가 나서지 않아 번번이 무산됐다. 대전시는 정부의 지원과 투자를 유치하고 사업여건을 개선한 만큼 이번 4차 공모에 기대를 걸고 있다. 지난달에는 정부가 대전역 북서부 일대 쪽방촌 복합개발에 나선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이들 지역 균형발전 사업이 잘되려면 결국 철도 등 광역교통망 구축과 대덕특구 강화 등이 필요하다. 충북의 강호축이나, 세종의 광역 교통망계획이 추진되고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대전시의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단순히 R&D 연구 기능 중심인 대덕특구를 산업과 연계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돼야 한다. 여기에 보문산관광개발과 신축야구장 조성, 옛 충남도청사 활용 등도 원도심 활성활를 위해 풀어야 할 숙제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지난 혁신도시 예정지 발표 회견에서 "대전 혁신도시는 원도심 활성화 및 도시재생과 연계해 대전의 미래 100년을 견인해 나갈 혁신 성장거점으로 구축할 것"이라면서 "이를 통해 신·구도심이 균형 잡힌 다함께 잘 사는 도시로 거듭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