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황우 한밭대 교수 |
그러나 코로나 19(COVID-19)로 인해 불과 2~3개월 만에 우리나라의 대학은 미네르바 대학이 돼버렸다. 아니, 전 세계 대학들이 미네르바 대학처럼 돼 버렸다. 우려와 기대 반으로 시작된 온라인 수업은 처음에는 많은 문제점을 노출도 하였으나 이제는 점차 안정화됨에 따라 특별한 것이 아닌 일상적인 것으로 되어 버렸다.
필자는 코로나 19로 인해 초중고와 대학까지 전 세계 교육현장에 불어닥친 온라인 수업을 계기로 코로나 이후, 포스트 코로나(Post corona) 시대의 대학 교육 변화에 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첫째, 강의실을 벗어난 자유로운 온라인 교육방식이 늘어날 것이다. 인터넷이 되는 곳이면 어디든지 공간과 장소의 제약이 없이 강의할 수 있다. 또 현장에서 실시간 수업도 가능해 데이터 공유와 예시, 피드백을 즉시 제공할 수 있다. 강의실의 틀을 벗어난 자유로운 교육프로그램들은 학생들의 참여와 집중도를 높여 창의성을 향상하게 하는 교육에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해외대학 간 언어의 장벽 없이 온라인 수업을 통한 공동강의, 학점교류, 공동프로젝트 등이 일상화될 것이다. 온라인 강의의 경우 언어를 실시간으로 번역하고 읽고 쓰기가 가능하므로 외국 교수 강의를 통역 없이 우리말로 바로 읽고 들을 수 있으며, 국내 대학교수도 번역 프로그램을 잘 활용하면 해외 대학에 현지 언어로 강의할 수 있고 실시간 채팅을 통해 질문과 답변도 가능하다.
셋째, 대학들이 유학생 모집을 위해 온라인 예비대학(Pre-school) 설립이 확산할 것이다. 해외 유학생을 유치하기 위해 고등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현지에 설립하는 예비대학을 온라인으로 설립하게 되면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소요되는 예산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유학생 확보에 도움을 줄 것이다.
넷째, 온라인 수업은 녹화된 강의보다 실시간 강의가 많아질 것이다. 온라인 수업을 해본 결과 학생들이 녹화된 강의보다는 실시간 강의를 선호하였고 만족도도 높았다. 다만 실시간 강의도 녹음해 필요하면 다시보기를 원했다. 실제로 실시간 강의는 대면강의보다 준비를 1.5배에서 2배 정도 많이 해야 하며 강의의 난도도 높다.
온라인 수업이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다. 온라인으로 수업하다 보면 대면 수업보다 학생들의 집중도가 많이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업에 대한 동기부여 및 소속감을 높여 참여도 향상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온라인 수업의 경우, 평가에서 대면 평가보다 공정성에 의문을 갖는 경우가 많다. 공정한 평가를 위한 시스템의 개선도 요구된다.
우리가 예상했던 도입보다 코로나 19로 인해 빨리 시작된 대학의 온라인 수업은 우리에게 많은 도전과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온라인 수업과 관련된 기술발전도 가속화되고 정교화될 것이며 관련 산업의 성장도 예측된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수업은 기존의 강의 방식의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 수 있으며 대학교육의 한 차원 높은 발전의 전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각 대학에서 온라인 수업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선제적인 제도개선과 이행 여부에 따라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 간 경쟁력은 결정될 것이다. /노황우 한밭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