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문학관 |
지난해 연말 대전문인협회와 대전작가회의가 공동으로 주최한 심포지엄에서 대전문학관의 발전을 위해 별도 운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 되면서 처음으로 공론화가 제기된 바 있다.
여기에 대전문화재단의 주요 기능이 시설위탁 관리가 아닌 기획과 홍보에 집중되기 위해서라도 향후 위·수탁 시설의 독립은 반드시 넘어야 할 과제로 꼽히고 있다.
대전문화재단은 현재 대전문학관을 비롯해 총 6개 시설을 위탁 중이다. 대표적으로 ‘예술가의집’은 지난해 10월 위탁 기간이 종료됐으나, 입주기관인 대전문화재단과 대전예총 회원사들이 이전할 곳을 찾지 못하면서 위탁 기간을 2년 연장했다.
대전문학관도 5년 이내로 수탁기관이 종료됨에 따라 또다시 문화재단이 위탁을 맡거나, 대전시 사업소로 운영되거나 혹은 민간 위탁 공모를 통해 새로운 사업자를 찾아야 하는 중대 기로에 서 있다.
문학계에서는 대전문학관 별도 운영에 무게를 싣고 있다. 지역문학관으로 출발한 첫 취지를 끌어올려 예술의전당이나 미술관처럼 어느 정도 규모를 갖추고 기능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대전문학계 한 인사는 "문학은 모든 예술의 기초인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다. 시를 비롯해 지역 문인들의 역량이 뛰어난데, 문인과 문학관 발전을 위해서라도 고유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운영 방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재 전국적으로 시 출연기관인 문화재단이 문학관을 위·수탁하고 있는 곳은 인천과 대전 2곳뿐이다. 대구의 경우 올해 문화재단에서 나와 비영리기관인 ‘작가콜로키움’이 운영기관으로 선정됐다.
이성호 대구문학관 운영팀장은 "2014년 이후 위탁 기간이 종료마다 공모했으나, 올해 처음 민간이 맡게 됐다. 민간이지만 운영 역량과 문학관 발전 계획과 잘 맞았던 것 같다"며 "자율성과 전문성 측면에서도 민간기관 운영의 장점이 극대화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문학계는 대전문학관 독립과 문학관장의 인사권에 대해서도 목소리를 냈다. 현재 문학관장은 비상임으로 인사권은 없는 사실상 상징성만 있어서다. 이는 결국 대전문학관의 기능은 축소하고 역량을 표출할 수 없는 위탁기관으로 머물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이은봉 대전문학관장은 "각 시 문학관과 네트워크를 만들고, 도서관을 겸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진다면 문학관의 장기적인 비전을 꿈꿀 수 있다"며 "지역문학계가 성장하고 나아가 서울권 문학계를 갱신할 수 있는 이른바, 대전발 문학운동이 가능해질 수 있는 기반이 문학관을 중심으로 이뤄진다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대전문화재단 관계자는 "외부에서 공식적으로 위·수탁 기관 중 독립에 대한 얘기가 나온 건 문학관이 처음이다. 지난해 문학계에서 첫 공론화했기 때문에 연관 단체들과 고민해봐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전문화재단의 위·수탁 문제는 지난해 대전시가 시의회에 제출한 '대전문화재단 공유재산 관리계획 변경 동의안'이 부결되면서 또 한 번 쟁점이 된 바 있다. 당시 대전시의회는 "대전문화재단은 시민 문화향유와 예술가 지원이 문화재단의 주 업무다. 과도하게 많은 위탁 기능은 본래 취지와 맞지 않다"며 안건을 부결한 바 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