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지성사 제공 |
김형중·이광호 엮음│문학과지성사
2020년 '5·18' 40주기를 맞아 『무한텍스트로서의 5·18』이 출간됐다. "5·18에 대해 아직 발설되지 않은 진실의 영역을 성찰하려는 한국 사회의 지적인 노력들"을 담아내고, 국가폭력에 대한 저항이자 어떤 의미화-제도화에 대해서도 '저항'하는 "무한텍스트로서의 5·18"을 조명하기 위해 기획된 책이다. 이를 위해 5·18과 관련해 제출된 유의미한 비평·연구 논문 열네 편을 모으고, 새로운 시각과 성찰을 담은 신고 다섯 편을 추가해 묶었다. 5·18을 사회과학·인문학적으로 성찰한 글뿐 아니라 이를 다룬 문학작품 및 영화 비평도 함께 묶어, 인문사회과학과 문학이 교호하는 장을 마련하고자 했다.
책은 총 4부로 구성돼 있다. 1부에서는 5·18 논의 자리에서 필수적으로 다뤄지는 최정운(정치학), 김상봉(철학)의 글과 함께, 기억을 둘러싼 감당할 수 없는 '부끄러움'의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는 정문영(역사학), 이영진(인류학)의 글을 묶어 5·18을 둘러싼 그간의 주요 성취를 수록했다. 2부에서는 '국가주의'를 넘어서는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5·18의 현재적 의미를 묻는 박준상(철학), 김항(인류학), 한보희(비교문학)의 글뿐 아니라 '민중-남성' 주체의 대표성에 의문을 던지며 그간 외면되어온 항쟁 주체들을 복원하려 노력한 김영희(국문학), 이광호(문학평론)의 글이 담겼다. 3부는 5·18을 주제로 한 문학·영화 텍스트에 대한 실제 비평을 모았으며, 4부에서는 올해로 타계 30주기를 맞는 비평가 김현의 사유와 비평이 5·18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분석하는 글을 수록했다.
책은 "5·18을 둘러싼 완전하고 올바른 역사가 없기에 5·18에 대한 새로운 언어들이 끊임없이 발명돼야 한다"고 말한다. 그 주장은 여전히 열린 텍스트로서의 '5·18'이 끊임없는 인문학적 성찰과 복원의 노력을 통해 끝내 가 닿을 미래를 예견하게 한다.
박새롬 기자 onoin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