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관 과장 |
오늘날로 치면 국민유산신탁으로 번역되기도 하는 내셔널트러스트 운동의 효시인 셈이다.
대전에서 결성됐지만, 우암의 위상을 보여주듯 전국적인 연락망을 갖추었으며, 갑신정변을 주도했던 개화파의 거두 박영효는 물론 민병석 같은 중앙의 거물급 인사들이 이름을 올렸다.
많은 이들에게 잊혀졌지만 자랑스러운 대전의 문화재보존운동의 시초였던 화양소제고적보존회의 본부가 있었던 곳이 바로 지금의 대전역 뒤편의 있는 작은 마을 '소제동'이었다.
파란만장했던 정치생활을 접고 낙향한 우암이 그 아름다움에 반해 집을 짓고 후학들을 키웠던 기국정과 남간정사가 있었던 곳이 바로 소제호 주변이었기 때문이다. 우암이 사랑했고, 그 우암을 흠모했던 이들이 모여들었던 소제동은 현재 일제강점기 조성된 철도관사촌과 젊은이들이 즐겨 찾는 멋진 카페들로 유명세를 타고 있다.
100년의 시간을 거슬러 다시 소제동은 보존과 개발의 뜨거운 현장이 되었다. 화양소제고적보존회의 결성 배경에는 대전천의 치수사업을 위해 계획된 소제호의 매립으로 사라져버릴지도 모를 우암의 유적들을 보존하고자 하는 이들의 안타까운 마음들이 있었다. 그리고 지금은 사라진 소제호 위에 세워진 그 관사들을 지키고자 하는 이들의 열망이 그곳에 있다. 역사의 아이러니이기도 하다.
도시는 살아있는 유기체와 같아 성장과 쇠퇴를 반복한다. 그렇게 본다면 어쩌면 자신의 시간을 온전히 살아낸 지난 역사의 주인공들이 다시금 시작되는 시간의 한 페이지에 그 자리를 내어주는 것 또한 역사적인 일일 것이다. 문제는 그 사라짐의 이유와 속도가 과연 우리가 납득할만한 것인가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은 지금 우리 세대가 과거 세대에 비해 얼마나 문화와 정신의 진보, 다양한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지혜를 가졌는지를 보여주는 일이 될 것이다.
대전시에서는 '도시기억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올 한해 문화재 보존의 역사와 철학, 이해충돌의 현장이 된 소제동과 인근 삼성동 재개개발지역에 대한 문화재조사와 기록화사업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예술인들이 하나의 팀을 이루었다.
긴 역사의 눈으로 보면 공존할 수 없을 거 같은 보존과 개발의 문제 역시 화양소제고적보존회의 존재가 보여주듯 자연스러운 하나의 역사이다. 이 문제를 우리 세대가 어떻게 풀어갈지는 아직 남겨진 문제이나 분명한 것이 있다. 지금 여기서에서의 '기록'이 가장 중요한 역사이며, 실천이라는 사실이다.
/정재관 대전광역시 문화유산과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