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먼필드 제공 |
안상윤 지음│휴먼필드
1980년대 초중반, 다큐PD로 활동하던 저자 안상윤은 TV프로그램 <추적 60>분에 주말마다 얼굴을 내밀면서 대중에 알려지게 된다. 택시를 타면 음성만 듣고도 알아보고, 장거리 전화를 걸면 지방 교환수가 바로 이름을 알아맞히는 정도였다.
어느 날 사전 취재차 천안을 방문해 택시를 탄 그는 단 두 글자 질문에 꽂힌다. 택시 기사가 백미러로 그를 힐끔 보더니 "맞쥬?"라고 물어본 것.
"많이 뵌 분입니다.", "TV 나오시는 분 맞죠?", "유명하신 분이시네요. 여긴 어쩐 일이세요?" 등 다른 지역에서 들을 수 있을법한 말이 충청도에선 단 두 글자로 끝났다. 그는 이때 충청도를 재발견했다고 말한다.
'1954년 경남 밀양 산'이라는 그가 '충청도는 왜 웃긴가'를 분석한 건 이 강렬한 흥미로움이 원천이었을 것이다. 저자는 그렇게 "충청도의 어투와 화법에 꽂히면서부터" 그들의 언어적 특성을 꾸준히 관찰하고 기록하기 시작했다. 『충청도는 왜 웃긴가? - 청풍명월의 말과 웃음』이라는 언어사회학적 문화비평서는 바로 그 기록의 결실이다.
저자는 "유머는 인생을 바라보는 태도이자 견해"(린위탕林語堂)임을 상기하면서, 충청도의 여러 기질 중에서도 특히 '웃음'에 주목한다. "아래위 사이에 낀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유독 피침이 많았던 "복잡다단한" 충청도의 역사가 '뭉근함', '능청', '너스레', '눙치기', '재치', '과장' '모사' 등 충청도의 기질적 특성을 자연스럽게 몸에 배게 했을 거라고 분석한다.
책은 <제1장-웃음의 미학> <제2장-충청도 해학의 요소> <제3장-충청도 해학의 원천> <제4장-충청 스타일> <제5장-충청도의 힘> <제6장-말(言)> <제7장-'충청도 따라 하기'의 필요성> 일곱 개의 장으로 나눠져 있다. 웃음과 해학의 기원, 언어와 예술의 본질에 관한 학설, 동서고금 문·사·철의 기록, 저자의 채록, 뉴스 연극 영화 드라마 예능프로 등에서 빌어온 예화들을 매개로 충청도식 화법에 담겨있는 독특한 정서와 기질적 특성을 심도 있게 파헤친다.
저자는 충청인을 "달처럼 한적하니 밤하늘에 떠서는 안 보는 척하면서 세상만사 다 굽어보고, 분명히 느낄 수 있을 만큼 존재감을 드러내는 소슬바람", 즉 '청풍명월(淸風明月)'에 비유한다. 그러면서 '청풍명월'이라는 충청도의 퍼스낼리티가 혼탁한 언어와 극단의 진영논리에 발목 잡힌 우리 사회의 강퍅한 경직성을 풀어줄 수 있는 멋진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역설한다.
박새롬 기자 onoin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