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헌영 시인 |
세상에 안 예쁜 아이가 없다고 말하는 시인은, 샘머리아파트 아이들의 비밀친구다. 2단지 앞 정자에 모여 사춘기를 겪는 아이들의 비밀을 들어주고, 말투도 교정해준다. 때론 어른처럼, 때론 친구처럼 고민의 무게를 덜어 주다 보니 이제는 단짝 친구들처럼 편한 사이가 됐다.
동네 엄마들도 이제는 박 시인에게 아이를 맡기고 외출할 정도니, 이 정도면 샘머리아파트의 어린이 지킴이라 부를 만하다.
박헌영 시인은 "아이들을 보고 있으면 어렸을 때 목척교와 선화동 인근에서 살았던 내 모습이 기억난다. 아이들을 통해서 순수성을 다시 느껴본다"며 "문학적 의식을 안 하고 아이들의 순수함을 그대로 시에 담으려고 했다"고 말했다.
'내 시는 없다'에는 아이들의 이름이 동명이인 포함 65명 나온다. 시 제목이기도 하고, 시 문단마다 등장해 친근하게 부르고 싶어진다. 시인은 시집이 나온 후 150권을 아이들에게 선물했다.
박 시인은 "또래 할아버지라고 사인을 해서 줬다. 시에 이름이 있는 아이들은 물론이고 없는 아이들에게도 선물했더니 꼭 끌어안고 뛸 듯이 기뻐했다"고 전했다.
시인과 만난 아이들은 천천히 변해갔다. 한 아이에 대한 시를 써줬더니 어머니가 코팅해서 아파트 단지 나무에 걸어두었단다. 아이는 자신이 시의 주인공이라는 사실만으로도 자신감을 얻었고, 밝아졌다. 시인은 이렇게 소소한 기쁨과 순수 에너지를 아이들을 통해서 얻고 있었다.
박헌영 시인은 "아이들을 보고 있으면 세상만사 근심을 잃어버린다. 바라만 보고, 이야기를 나누는 거지만 행복하다. 최근 2~3년 동안 마음에 어려움이 많았는데, 아이들이 치유해 줬다"고 강조한다.
박헌영 시인이 '내 시는 없다' 시집을 내기까지 인연의 힘도 작용했다. 책 표지 그림은 금강의 화가 기산 정명희 선생, 시집 서평은 안도현 시인, 시집 총평은 정순진 전 대전대 교수가 도움을 줬다.
박헌영 시인은 기산 선생님과 친구인 안도현 시인에게 도움을 구할 때 이런 이야기를 했다. "시집을 받은 아이들이 커서 교과서에서 선생님 그림과 친구의 시를 볼 텐데, 또래 할아버지 시집에서 이름을 봤다고 하면 우리 서로 얼마나 행복하겠느냐"고 말이다. 덕분에 기산 선생님은 그림 두 점을, 친구 안도현 시인은 정성스런 서평을 보내왔다고 한다.
박헌영 시인은 "나에게는 아이들은 시를 품은 원석"이라고 말한다. 샘머리아파트 2단지 앞 정자, 그곳은 박 시인의 문학 놀이터이자 원석들을 만나는 가장 행복한 시간이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