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9강 비익연리(比翼連里)

  • 문화
  •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장상현의 재미있는 고사성어] 제19강 비익연리(比翼連里)

장상현/ 인문학 교수

  • 승인 2020-05-19 00:00
  • 김의화 기자김의화 기자
제19강 비익연리(比翼連里) : 비익조(比翼鳥)와 연리지(連理枝)이야기

比(견줄비 / 서로도울 비) 翼(날개 익) 連(이을 연) 理(다스릴 리 / 나무결 리)

출처는 후한서 채옹전(後漢書 蔡邕傳)과 백낙천의 장한가(長恨歌)에서 확인된다.

비익연리(比翼連里)는 비익조(比翼鳥)와 연리지(連理枝)를 합하여 줄인 말로써 부부(夫婦)가 서로 진심으로 사랑하고, 화합(和合)함을 비유할 때 쓰는 대표적인 말이다.



5월 가정의 달 중 백미(白眉)는 역시 부부의 날이다. [5월 21일이 부부의 날이 된 것은 가정의 달 5월에 2(둘이) 1(하나 된다)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

부부에 대한 고사성어는 많다. 곧 거안제미(擧案齊眉), 경전서후(耕前鋤後), 금슬상화(琴瑟相和), 부창부수(夫唱婦隨), 조강지처(糟糠之妻), 파경(破鏡) 등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많다 그만큼 "인간의 삶에 가장 중요한 핵심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비익조(比翼鳥)라는 새는 상상의 새로서 태어날 때부터 한쪽의 날개가 없이 태어나는데 어릴 때에는 자기가 한쪽 날개만을 가진 새라는 것을 알지 못한다. 그러나 시간이 흘러 날기를 배워야 할 즈음에 날수 없음을 알게 된다. "왜 난 날개가 하나뿐이야?" 라고 어미 새에게 묻는다. 어미 새는 "너만 그런 것이 아니란다. 이 엄마도 날개가 하나뿐이야." 정말 어미 새의 날개도 한 쪽 뿐이었다.

언제 어디서나 마음껏 하늘을 날던 어미 새가 날개가 한 쪽 뿐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비익조는 어떻게 해야 하늘을 날 수 있는지 물었다. 그러자 어미 새가 "기다려서 어른이 되면 이 엄마처럼 날 수가 있단다." 시간이 흘러 비익조는 어른이 되었다.

그러나 날 수가 없었다. 그래서 다시 어미 새에게 물었다. "엄마 어른이 되어도 날 수가 없잖아요?" 그러자 어미 새는 "사랑을 해 보렴 사랑을 해야 날 수가 있단다."

그 후 비익조는 사랑을 찾아 떠나게 된다. 그러나 아무리 찾아보아도 사랑은 보이지 않는다. 새는 다시 길을 나섰고 어느 날 자기와 같은 새와 마주치게 되었다. 그때서야 '사랑은 눈이 마주치는 것이고 마음속에 있는 것'임을 깨닫게 된다.

비익조는 그 새와 사랑을 하게 되었고 날개짓도 같이 해보았으나 역시 날 수가 없었다.

"엄마! 사랑을 하는데도 왜 날 수가 없죠?"

"그건 날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랑을 했기 때문이란다. 아들아 사랑은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있는 것이 아니란다. 사랑을 하다보면 원했던 삶이 자연히 이루어지는 것이란다."

비익조의 첫사랑은 날아야 한다는 데에 목적을 둔 사랑이었다. 그 이야기를 듣고 깨달은 아들 비익조는 목적을 둔 사랑은 곧 파괴된다는 사실에 마음이 아팠다.

어미 새는 다시 "아들아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사랑은 진실로 해야 한다는 것이다. 진실로 사랑하지 못하면 우리는 날 수가 없단다. 그러기 위해서는 네가 먼저 사랑을 하거라. 사랑을 받을 생각은 하지 말고, 줄 생각만 해라. 그러면 자연히 사랑을 받게 되고 우린 영원히 없던 나머지 한쪽 날개를 얻게 된다."

PYH2019120418830080500_P4
대통령의 별장과 군사시설이 있는 섬, 국민의 품에 다시 돌아온 아름답고 고요한 힐링의 섬 저도의 산책로와 해변 사이의 '연리지 정원'에 있는 말채나무와 소나무로 이루어진 연리지. 연합DB
연리지(連理枝)!

춘추전국시대 송(宋)나라 폭군 강왕(康王)은 막강한 군사력을 앞세워 영토를 확장하는 등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위세를 떨쳤다. 매일 밤마다 수많은 미녀들과 열락에 빠져 간언(諫言)을 하는 충신들을 모조리 사형에 처했다. 그러던 어느 날, 우연히 한빙(韓憑)이라는 신하의 아내 하(河)씨 미모에 반해 그녀를 강제로 후궁으로 취했다. 한빙이 피눈물로 읍소했지만 강왕은 "네 아내가 스스로 선택한 걸 어쩌리."라며 외면했다. 한빙이 왕을 원망하자 강왕은 그에게 죄를 씌워 멀리 추방했고, 한빙은 자결했다.

한편 남편을 그리워하던 하씨 역시 기회를 보아 성벽 아래로 몸을 던져 자결했다. 죽은 그녀의 소맷자락에는 '왕께서는 사는 것이 행복이겠지만 저는 죽음이 행복입니다. 시체를 부디 남편과 함께 묻어주십시오'라는 유언이 적혀있었다. 하지만 못된 강왕은 합장하지 않고 오히려 두 무덤을 멀리 떨어지게 만들었다. 그런데 두 무덤 위에 나무가 자라 큰 나무가 되더니 뿌리와 가지가 뻗어 서로 뒤엉켜 연리지(連理枝)가 되었고, 한 쌍의 원앙이 서로 목을 비비며 울었다.

痴人畏婦 賢女敬夫(치인외부 현녀경부 : 어리석은 사람은 아내를 두려워하고, 어진 여자는 남편을 공경한다.)

百忍堂中 有泰和(백인당중 유태화 : 백 번 참으면 가정에 큰 평화가 있다.)

인류가 존재하는 한 가정은 존재하고 가정의 중심은 부부(夫婦)임이 틀림없다. 부부의 화목(和睦)은 만사(萬事)를 이루는 근원(根源)이 된다. 그래서인가? 부부의 날 비익조와 연리지가 더 와 닫는다.

장상현/ 인문학 교수

5-장상현-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기고]대한민국 지방 혁신 '대전충남특별시'
  2. 금강환경청, 자연 복원 현장서 생태체험 참여자 모집
  3. "방심하면 다쳐" 봄철부터 산악사고 증가… 대전서 5년간 구조건수만 829건
  4. [썰] 군기 잡는 박정현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5. 기후정책 질의에 1명만 답…대전 4·2 보궐선거 후보 2명은 '무심'
  1. 보은지역 보도연맹 희생자 유족에 국가배상 판결 나와
  2. 안전성평가연구소 '국가독성과학연구소'로 새출발… 기관 정체성·비전 재정립
  3. 지명실 여사, 충남대에 3억원 장학금 기부 약속
  4. 재밌고 친근하게 대전교육 소식 알린다… 홍보지원단 '홍당무' 발대
  5. '선배 교사의 노하우 전수' 대전초등수석교사회 인턴교사 역량강화 연수

헤드라인 뉴스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충청 4·2 재·보궐 결전의 날… 아산·당진·대전유성 결과는?

12·3 비상계엄 이후 탄핵정국에서 펼쳐지는 첫 선거인 4·2 재·보궐 선거 날이 밝았다. 충청에선 충남 아산시장과 충남(당진2)·대전(유성2) 광역의원을 뽑아 '미니 지선'으로 불리는 가운데 탄핵정국 속 지역민들의 바닥민심이 어떻게 표출될지 관심을 모은다. 이번 재·보궐에는 충남 아산시장을 포함해 기초단체장 5명, 충남·대전 등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 교육감(부산) 1명 등 23명을 선출한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놓고 여야 간 진영 대결이 극심해지면서 이번 재·보궐 선거전은 탄핵 이슈가 주를 이뤘다. 재·보궐을 앞..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전원일치 의견’이면 이유 요지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결정과 관련, 헌법재판관들의 의견이 ‘전원일치’이면 이유의 요지를 먼저 설명한 후 마지막에 ‘주문’을 낭독한다. 헌법재판소의 실무지침서인 ‘헌법재판 실무제요’ 명시된 선고 절차다. 재판관들의 의견이 엇갈리면 주문 먼저 읽은 후에 다수와 소수 의견을 설명하는 게 관례지만, 선고 순서는 전적으로 재판부의 재량에 달려있어 바뀔 수 있다. 선고 기일을 4일로 지정하면서 평결 내용의 보안을 위해 선고 전날인 3일 오후 또는 선고 당일 최종 평결, 즉 주문을 확정할 가능성이 크다. 평결은 주심인 정형식 재판관이 의견을..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공식 첫 걸음…대전지역 금융 기반 기대

제4인터넷전문은행 설립을 추진하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하 소호은행)이 1일 기자회견을 열고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전국 최초의 소상공인 전문은행 역할을 지향하는 소호은행은 향후 대전에 본사를 둔 채 충청권 지방은행의 역할을 일부 수행하며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소호은행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소상공인 맞춤형 금융서비스 계획을 발표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김동호 한국신용데이터(KCD)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절반 이상이 소상공인, 대한민국 경제 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대전시의원 후보자 3인 ‘저를 뽑아주세요’

  •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사랑의 재활용 나눔장터 ‘북적북적’

  •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재·보궐선거 개표소 설치

  • 3색의 봄 3색의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