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구 한국화학연구원 전문연구위원, RUPI 사업단장 |
인간관계 그중 가족관계가 가장 활발해야 할 5월이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모두가 예민해졌다. 감옥처럼 갇혀 지내다 보니 가장 가깝다고 여겼던 가족 틈새가 여기저기서 삐걱댔다. 밖에 나가도 먼발치에서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는 비슷한 모습만 마주치니 새삼 사람의 얼굴이 그립다. 살아 숨 쉬는 생생한 표정이 보고 싶다. 하지만 당분간 코로나19 이전으로 온전히 돌아가기는 어려운 현실을 받아들여야 한다. 그러기에 공동체의 새로운 가치관 및 관계 정립이 필요하다. 특히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한 사람 사이의 정(情)을 잃지 않아야겠다.
새로이 '생활 속 거리 두기'가 일상화되면서 초기엔 기존 문화나 현실과 충돌하기 쉽다. 이럴 땐 초심으로 돌아가자. 예컨대, 살아가면서 모든 사람을 사랑할 순 없어도 친절할 수는 있다. 친절은 적극적인 예의다. 가벼운 미소만으로도 충분히 예(禮)를 표시할 수 있다. 몸이 불편한 사람을 위해 문을 열어주거나 무거운 짐을 받아주면서, 또한 낯선 이에게 길을 알려주는 등 작은 양보와 친절을 베푼다면 보다 밝은 사회공동체를 만들어갈 수 있지 않겠나. 무엇보다 생면부지의 타인에게 친절히 대하면 내 마음도 순해진다.
고대 그리스 시대의 철학자인 헤라클레이토스는 "결국 품성이 당신의 운명이다"라는 명언을 남겼다. 친절은 남을 위한 적극적인 행동이지만 결국은 나를 위한 것이다. 가까운 사람의 흉을 보는 이유는 그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사랑의 시작은 이해다. 각박하기 그지없는 현대사회에서 친절, 배려, 존중의 생활화가 더욱 필요한 이유다. 이처럼 끝없는 자기 인격 수양은 자신의 운(運)을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주면서 앞길을 밝게 비춰줄 것이다.
최근 원하든 원치 않든 혼자 있는 시간이 많아졌다. 그러나 혼자 있는 시간을 무료하지 않게 즐기는 일은 녹록하지 않다. 외롭다는 것은 결코 창피하거나 부끄러운 일이 아니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외로움을 느끼기 마련이다. 조용히 혼자 있는 동안에 사색을 통한 자기성찰을 할 수 있지 않겠는가. 오히려 단 한 시간도 자신과 대면하는 시간이 없다면 그것이 위험한 인생이다. 누구나 나이가 들고 은퇴할 시간이 찾아온다. 그때를 대비해서라도 혼자만의 시간을 즐길 줄 알아야 한다. 요즘 젊은이들의 욜로, 소확행, 혼밥, 워라밸과는 다른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잘 잤느냐?"는 말 한마디가 하루를 보낼 에너지가 되고, "좋은 아침!"이라는 그대의 말 한마디에 희망이 솟는다. "즐거운 하루 보내라"는 말 한마디가 행복의 근원이 되고, "커피 한잔 놓고 간다"는 친구의 말 한마디에 그동안 쌓였던 피곤이 싹 가신다. 누구나 말 한마디로도 충분히 친절할 수 있다. 매일 아침 그날 생일을 맞은 지인들에게 생일축하 이모티콘과 인사를 건넨다. 소소해 보이지만, 당신도 그런 인사를 받으면 기분이 좋지 않은가.
반면에, 주위를 둘러보면 말 한마디에도 상처를 잘 받는 사람이 있다. '아픈 만큼 성숙해지고'란 노래도 있듯이 상처가 사람을 성장시킨다고 믿는 편이다. 상처를 통해 겪는 고통의 깊이만큼 성장의 높이도 따라 늘어난다. 특히 자신에 대한 의식의 성장은 스스로를 낱낱이 파헤쳐 보는 고통스러운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지금의 고통스러운 과정도 훗날엔 틀림없이 자신을 성장시킨 시간으로 뒤돌아보게 될 것이다. 나 스스로 만든 과도한 기대를 내려놓는 습관을 더 키워야겠다. 마음을 비우려면 아직 멀었다.
이동구 한국화학연구원 전문연구위원, RUPI사업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