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세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재영 |
실제로, 전 세계 주요 도시들의 미세먼지 농도가 전년 대비 40~60% 감소했다고 한다. 자동차 매연과 교통혼잡으로 유명한 로스앤젤레스에도 푸른 하늘이 SNS의 얘깃거리가 되고 있다. 봄이면 우리를 괴롭히던 미세먼지도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코로나로 사람들이 이동을 줄이고 통행방식을 바꾼 탓이다.
전 세계적으로 자전거를 많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영국, 우리나라나 할 것 없이 요즘 자전거는 없어서 못 파는 물건이 되었다. 대전시도 마찬가지다. 공공자전거 타슈 이용자가 많이 늘어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사회적 거리 두기를 했던 3월과 4월을 기준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1%가 증가했다. 그동안 자전거 이용률이 낮은 이유가 자전거도로의 부재만은 아니었다. 실상 지자체와 개인의 관심 부재가 문제의 중심에 있었던 것이다.
코로나는 '자동차이용을 줄이고 자전거를 이용하면 맑은 공기를 보상으로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준 것인데, 이것이 바로 지속 가능한 교통정책의 핵심이다.
앞으로, 코로나19가 어떻게 전개될지 종잡기 어렵다. 그러나, 결국은 종식되리라 본다. 그렇다면, 코로나 이후에도 이전과 똑같은 삶을 살아갈 수 있을까? 잠시 '멈춤'으로 맑은 공기를 경험한 이상 그 가능성을 지켜낼 필요가 있다.
이참에 지자체는 대안 교통수단으로 자전거를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시민들은 한 번쯤 이용해보면 좋겠다. 일상을 유지하고 동시에 맑은 공기를 지켜낼 수 있는 교통수단 중 가장 현실적이고 지속할 수 있는 방법이니 말이다.
새삼스럽기는 하지만 수치를 꺼내서 자전거의 친환경성, 정책대안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해 보자. 우선, 자전거는 에너지를 매우 적게 필요로 한다. 자전거를 타는데 필요한 열량은 ㎞당 22㎉이면 된다. 동일한 거리를 승용자동차는 1,163㎉를 소모한다. 자전거의 53배다. 열량은 우리가 음식을 먹거나 연료를 소비해야 나오는 것이니 결국 유한한 자원을 축내는 것이고, 어딘가에 오염 발자국을 남기는 일이다. 승용차는 그야말로 엄청나게 먹는 (적어도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비효율적인 물건이다.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배출에서도 엄청난 차이가 난다. 자동차는 ㎞당 271g을 내뿜지만, 자전거는 21g을 발생시킨다. 도시공간은 또 어떤가? 자전거 1대를 주차하는 데는 자동차의 1/20의 면적이면 충분하다. 주차장 1면의 조성비용이 약 7000만 원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그야말로 돈 먹는 하마, 재정을 축내는 물건이 자동차인 것이다.
이쯤 되면, 자전거는 '지구를 살리는 기특한 발명품'이 아닐 수 없다. 그저 그런 자전거가 아니다. 자동차운전에 방해가 된다고 불평할 자전거가 아니란 말이다.
여러 가지 사정으로 자동차를 운전하는 분들은 이제부터라도 자전거를 존중해 주기 바란다. 나(승용차)보다 에너지를 훨씬 적게 쓰면서 같은 일을 해내고, 도시재정에도 이바지하며, 공기도 맑게 지켜주고 있다. 자전거 덕분에_내가 자동차를 사용해도_ 도시의 자원, 공기, 공간이 유지되고 있으니 고마운 이웃이다. 그러니, 자전거가 지나가면 위협하지 말고 멈춰주고, 기다려주는 것이 최소한의 도리일 것이다. 적어도 자동차보다는 공동체에 보탬이 되는 사람이니 말이다.
자전거가 교통정책대안이 될 수 있음은 코로나가 증명해 주었다. 이제 자전거를 정책대안으로 선택하고, 시행하는 실천만 남은 것이다. 다만, 이전처럼은 안된다. 말로 하는 자전거정책은 그동안 충분히 해 왔다. 정책의지가 있다면 예산으로 보여주어야 한다. 전체 대전시 교통예산 중 2% 자전거예산으로는 그 의지를 믿어주지도 효과가 나타나기도 어렵다.
코로나가 전에 없이 우리를 힘들게 하지만 친환경 교통정책으로 전환하는 발화점이 되기를 바란다.
대전세종연구원 이재영 선임연구위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