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광장] 코로나가 일깨워준 자전거의 가치

  • 오피니언
  • 목요광장

[목요광장] 코로나가 일깨워준 자전거의 가치

대전세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재영

  • 승인 2020-05-13 10:38
  • 수정 2020-05-18 19:59
  • 신문게재 2020-05-14 18면
  • 이현제 기자이현제 기자
이재영
대전세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재영
희망은 때로 역경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것일까? 코로나19로 암울한 뉴스가 사방천지 시공간을 도배했고 개인들은 일상을 저당 잡힌 신세가 됐다. 그런데, 이런 와중에 우리는 하나의 가능성을 경험했다. 다름 아닌 '작고 창백한 푸른 점' 지구가 살아나고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푸른 하늘, 맑은 공기가 어느 날 가까이에 와 있었던 것이다. 코로나의 역설이 아닐 수 없다.

실제로, 전 세계 주요 도시들의 미세먼지 농도가 전년 대비 40~60% 감소했다고 한다. 자동차 매연과 교통혼잡으로 유명한 로스앤젤레스에도 푸른 하늘이 SNS의 얘깃거리가 되고 있다. 봄이면 우리를 괴롭히던 미세먼지도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코로나로 사람들이 이동을 줄이고 통행방식을 바꾼 탓이다.

전 세계적으로 자전거를 많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영국, 우리나라나 할 것 없이 요즘 자전거는 없어서 못 파는 물건이 되었다. 대전시도 마찬가지다. 공공자전거 타슈 이용자가 많이 늘어난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사회적 거리 두기를 했던 3월과 4월을 기준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1%가 증가했다. 그동안 자전거 이용률이 낮은 이유가 자전거도로의 부재만은 아니었다. 실상 지자체와 개인의 관심 부재가 문제의 중심에 있었던 것이다.

코로나는 '자동차이용을 줄이고 자전거를 이용하면 맑은 공기를 보상으로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준 것인데, 이것이 바로 지속 가능한 교통정책의 핵심이다.



앞으로, 코로나19가 어떻게 전개될지 종잡기 어렵다. 그러나, 결국은 종식되리라 본다. 그렇다면, 코로나 이후에도 이전과 똑같은 삶을 살아갈 수 있을까? 잠시 '멈춤'으로 맑은 공기를 경험한 이상 그 가능성을 지켜낼 필요가 있다.

이참에 지자체는 대안 교통수단으로 자전거를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시민들은 한 번쯤 이용해보면 좋겠다. 일상을 유지하고 동시에 맑은 공기를 지켜낼 수 있는 교통수단 중 가장 현실적이고 지속할 수 있는 방법이니 말이다.

새삼스럽기는 하지만 수치를 꺼내서 자전거의 친환경성, 정책대안으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해 보자. 우선, 자전거는 에너지를 매우 적게 필요로 한다. 자전거를 타는데 필요한 열량은 ㎞당 22㎉이면 된다. 동일한 거리를 승용자동차는 1,163㎉를 소모한다. 자전거의 53배다. 열량은 우리가 음식을 먹거나 연료를 소비해야 나오는 것이니 결국 유한한 자원을 축내는 것이고, 어딘가에 오염 발자국을 남기는 일이다. 승용차는 그야말로 엄청나게 먹는 (적어도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비효율적인 물건이다.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배출에서도 엄청난 차이가 난다. 자동차는 ㎞당 271g을 내뿜지만, 자전거는 21g을 발생시킨다. 도시공간은 또 어떤가? 자전거 1대를 주차하는 데는 자동차의 1/20의 면적이면 충분하다. 주차장 1면의 조성비용이 약 7000만 원이라는 것을 고려하면, 그야말로 돈 먹는 하마, 재정을 축내는 물건이 자동차인 것이다.

이쯤 되면, 자전거는 '지구를 살리는 기특한 발명품'이 아닐 수 없다. 그저 그런 자전거가 아니다. 자동차운전에 방해가 된다고 불평할 자전거가 아니란 말이다.

여러 가지 사정으로 자동차를 운전하는 분들은 이제부터라도 자전거를 존중해 주기 바란다. 나(승용차)보다 에너지를 훨씬 적게 쓰면서 같은 일을 해내고, 도시재정에도 이바지하며, 공기도 맑게 지켜주고 있다. 자전거 덕분에_내가 자동차를 사용해도_ 도시의 자원, 공기, 공간이 유지되고 있으니 고마운 이웃이다. 그러니, 자전거가 지나가면 위협하지 말고 멈춰주고, 기다려주는 것이 최소한의 도리일 것이다. 적어도 자동차보다는 공동체에 보탬이 되는 사람이니 말이다.

자전거가 교통정책대안이 될 수 있음은 코로나가 증명해 주었다. 이제 자전거를 정책대안으로 선택하고, 시행하는 실천만 남은 것이다. 다만, 이전처럼은 안된다. 말로 하는 자전거정책은 그동안 충분히 해 왔다. 정책의지가 있다면 예산으로 보여주어야 한다. 전체 대전시 교통예산 중 2% 자전거예산으로는 그 의지를 믿어주지도 효과가 나타나기도 어렵다.

코로나가 전에 없이 우리를 힘들게 하지만 친환경 교통정책으로 전환하는 발화점이 되기를 바란다.
대전세종연구원 이재영 선임연구위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학대 마음 상처는 나았을까… 연명치료 아이 결국 무연고 장례
  2. 김정겸 충남대 총장 "구성원 협의통해 글로컬 방향 제시… 통합은 긴 호흡으로 준비"
  3. 원금보장·고수익에 현혹…대전서도 투자리딩 사기 피해 잇달아 '주의'
  4. [대전미술 아카이브] 1970년대 대전미술의 활동 '제22회 국전 대전 전시'
  5. 대통령실지역기자단, 홍철호 정무수석 ‘무례 발언’ 강력 비판
  1. 20년 새 달라진 교사들의 교직 인식… 스트레스 1위 '학생 위반행위, 학부모 항의·소란'
  2. [대전다문화] 헌혈을 하면 어떤 점이 좋을까?
  3. [사설] '출연연 정년 65세 연장법안' 처리돼야
  4. [대전다문화] 여러 나라의 전화 받을 때의 표현 알아보기
  5. [대전다문화] 달라서 좋아? 달라도 좋아!

헤드라인 뉴스


대전충남 행정통합 첫발… `지방선거 前 완료` 목표

대전충남 행정통합 첫발… '지방선거 前 완료' 목표

대전시와 충남도가 행정구역 통합을 향한 큰 발걸음을 내디뎠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 조원휘 대전시의회 의장, 홍성현 충남도의회 의장은 21일 옛 충남도청사에서 대전시와 충남도를 통합한 '통합 지방자치단체'출범 추진을 위한 공동 선언문에 서명했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수도권 일극 체제 극복, 지방소멸 방지를 위해 충청권 행정구역 통합 추진이 필요하다는 데에 공감대를 갖고 뜻을 모아왔으며, 이번 공동 선언을 통해 통합 논의를 본격화하기로 합의했다. 이날 공동 선언문을 통해 두 시·도는 통합 지방자치단체를 설치하기 위한 특별..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8. 대전 중구 선화동 버거집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8. 대전 중구 선화동 버거집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충북은 청주권을 비롯해 각 지역별로 주민 숙원사업이 널려있다. 모두 시·군 예산으로 해결하기에 어려운 현안들이어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한 사업들이다. 이런 가운데 국토균형발전에 대한 기대가 크다. 윤 정부의 임기 반환점을 돈 상황에서 충북에 어떤 변화가 있을 지도 관심사다. 윤석열 정부의 지난해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발표한 충북지역 공약은 7대 공약 15대 정책과제 57개 세부과제다. 구체적으로 청주도심 통과 충청권 광역철도 건설,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구축,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구축 등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 3·8민주의거 기념관 개관…민주주의 역사 잇는 배움터로 운영 3·8민주의거 기념관 개관…민주주의 역사 잇는 배움터로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