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병욱 총장 |
그러다 보니 동네 식당에는 손님이 없으나 음식을 배달하는 온라인 플랫폼은 거꾸로 호황을 누리게 됐다. 관광과 여행업의 경우는 어쩌면 가장 큰 직접적인 피해를 보았다고 할 수 있다. 코로나의 팬데믹 상황에서 세계 어디든지 안전하게 여행할 수 있는 곳은 없기 때문이다. 여행을 떠나고 싶은 본능적인 갈증을 TV 여행프로그램으로 해소하거나 가상현실이나 증강현실을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가 대신하기도 한다.
직접 대면하지 못해 큰 어려움을 겪는 또 다른 분야 중 하나가 교육일 것이다. 유치원부터 대학까지 모든 교육기관이 과거와는 다른 방식의 비대면 교육으로 전환한 상태다. 소위, 인강이라는 인터넷 강의는 입시공부를 하는 중·고등학교 수험생들에게나 필요한 것이라고 여겨졌으나 이제는 초등학생부터 대학생까지 이를 활용하고 있다.
기술적으로도 그렇고 태생적으로도 한계를 지닌 원격수업은 불편하고 불만족스러울 수밖에 없는 부분이 많지만, 일부에서는 대면 강의에서보다 더 만족스러운 효과를 보기도 한다. 기존의 단순한 강의에서 실현하기 어려웠던 거꾸로학습 (Flipped learning), 프로젝트 중심 학습 (Project based learning)이 용이해진 것이 그런 경우다.
학생들도 불만이 있기는 하지만, 과거보다 늘어난 과제를 적극적으로 수행하면서 스스로 자기주도적 학습을 실천하는 경우다. 또한, 온라인 시험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인터뷰형식 평가를 도입해 단순한 암기 위주 학습을 극복하고 비판적 사고력을 증대시키게 되는 효과를 거두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사례들은 모두 교육의 위기를 오히려 성공적인 기회로 활용한 경우라 하겠다.
코로나 위기를 혁신적인 기회로 활용한 대표적인 경우가 코로나 진단키트로 대변되는 우리 대한민국 K-바이오가 아닌가 한다. 그동안 수십 년간 꾸준히 투입된 정부와 민간의 바이오 연구기술개발비와 관련 종사자들의 헌신적인 노력 덕분에 우리나라의 코로나 진단키트는 세계 100여 개국에 수출되는 쾌거를 거두었다. 특히 이들 중 상당수의 기업이 대덕연구개발특구 기업이라는 점은 대전이 코로나 위기극복의 중심지 역할을 제대로 하는 것 같아 더욱 자랑스럽게 느껴진다.
과학기술로 코로나 위기를 극복하자는 지역의 강력한 의지는 최근에 대전의 산·학·연·병·정 기관들을 함께 뭉치게 했다. 카이스트를 비롯한 연구개발특구 기업과 연구소, 충남대학교 병원 등 지역 대형병원, 그리고 필자가 속한 한밭대학교와 대전시 등이 참여해 지난 4월 21일 '항바이러스 건강사회 구현 협의회'를 창립했고, 참여 기관들은 공학·과학기술을 이용해 병원 등 사회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바이러스 감염 예방과 치료기술 개발에 대한 정보공유와 협업의 노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치료제나 백신뿐만 아니라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많은 사회적인 문제들이 이 협의회를 통해 조금이나마 해결될 수 있게 되기를 희망한다.
올해가 시작되면서 많은 사람은 이제 4차 산업혁명이 본격적으로 시작된다고 여기며 이에 대한 준비를 해왔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ABCD (AI, Block Chain, Cloud, Data)이며, 이들 영역에서 기술발전이 필요하다고 하며 이에 대한 역량 강화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런데 이번 코로나 사태를 겪으면서 이 ABCD는 조금 다르게 해석되기도 한다. 언택트 제조를 위해 생산은 자동화(Automation)되어야 하며, 바이오 헬스케어(Bio-Healthcare) 분야의 꾸준한 발전이 필요하며, 원격시대에 활용될 수 있는 새로운 콘텐츠(Contents)와 온라인 주문에 대응하는 빠른 배송(Delivery) 등도 코로나 위기를 극복하는 데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제 4차 산업혁명의 ABCD와 함께 코로나 시대의 ABCD도 함께 기억해야겠다.
최병욱 한밭대학교 총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