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대사와 사명당 |
到:이를 도/거꾸로 도, 整:가지런할 정, 累:쌓을 누, 卵:알 란.
3일이 지나면 5월 15일 스승의 날이다.
이 고사는 서산대사(西山大師)와 사명당(四溟堂)이 서로 도력(道力)을 겨루어 스승과 제자로서의 인연을 확고히 다지게 되는 일화로 유명하다. 여기에서 스승과 제자가 서로를 인정하면서 또한 존중하는 따뜻한 사제(師弟)관계를 엿볼 수 있다. 그리고 이 이야기는 불가능하다고 여겨지는 일을 해낼 때 이르는 말을 대신할 때 사용되기도 한다. 선조실록에 보인다.
두 분 스님은 조선시대 불자(佛子)들의 스승 됨은 물론 임진왜란(壬辰倭亂)당시 나라를 위기(危機)에서 구한 승병(僧兵)의 리더로서도 이름이 높은 스님들이다.
조선 14대 선조(宣祖) 때 사명당(惟政.유정.1544~1610)이 오랫동안 금강산(金剛山) 등지에서 도(道)를 닦은 끝에 축지법(縮地法)까지 익히자 혼자 생각했다.'묘향산에 도술 높은 서산대사(休靜.휴정1520~1604) 라는 큰 스님이 계시다는데 그와 도력(道力)을 한번 겨뤄 봐야겠다. 그래서 만약 나의 도력이 모자라면 그 스님을 스승으로 모시고 도를 더 닦아야지.' 사명당은 이제 막 익힌 축지법을 이용하여 몇 걸음 만에 묘향산 입구에 닿았다.
한편 서산대사는 사명당이 올 줄을 미리 알고 묘향산 골짜기의 물을 아래에서 위로 거꾸로 흐르게 해 놓았다. 그 광경을 본 사명당은 큰 감동을 받았다. "역시 도술이 뛰어난 스님이시군!" 이윽고 암자에 도착한 사명당은 새 한 마리를 잡아 가지고 손에 쥐고서 서산대사 앞에 가서 물었다. "대사님, 제가 이 새를 죽이겠습니까? 살리겠습니까?" 그러자 서산대사가 대문 문지방에 다리를 앞뒤로 걸치고 서서 되물었다. "대사, 그럼 내가 지금 밖으로 나갈 것인지 안으로 들어갈 것인지 맞혀 보시오. 그러면 나도 맞히리다." 사명당은 "그거야 나오시든지 들어가시든지 대사님의 마음에 달린 것 아니겠습니까? 그러나 대사님은 저를 맞으러 나오시는 길이니까 아마 나오시리라 생각합니다." 이에 서산대사가 빙그레 웃으며 말했다. "당신 역시 손안의 새를 죽이든 살리든 당신 마음이 아니겠소. 그러나 대사가 살아있는 목숨을 죽이지는 않을 것으로 아오." 사명당은 "맞습니다. 불자(佛子)가 귀한 생명을 죽일 수는 없지요. 허허허." 사명당은 시원스럽게 웃고 나서 손 안의 새를 날려 보냈다.
그리고 두 분 대사는 마루방에 마주 앉았다.
사명당은 냉수 한 그릇을 청한 다음 그 물에 가지고 온 바늘 백 쌈을 쏟았다. 그러자 바늘이 곧 먹음직스런 국수로 변했다. 그리고 사명당은 그 국수를 맛있게 먹었다. 그러자 서산대사는 "그 국수 맛이 참 좋을 것 같구려, 나도 출출하니…" 하면서 종자에게 냉수 한 사발과 바늘 백 쌈을 가져오도록 하고, 사명당과 똑 같이 바늘을 국수로 만들어 후루룩 마셔버렸다. 그리고 곧바로 국수를 뱉으니 국수가 다시 바늘 백 쌈으로 변했다. 이를 보고 속으로 놀란 사명당은 2차전으로 준비해 온 달걀꾸러미에 달걀을 꺼내어 차례차례 괴어 쌓아 올리기 시작했다.
그러자 서산대사가 "대사의 도력이 참으로 놀랍구려" 하면서 서산대사도 달걀을 가져오도록 하더니 처음 한 개를 허공에 머물게 한 다음 그 아래쪽으로 연이어 받쳐 내려가면서 거구로 쌓는 것이었다. 분명히 서산대사의 재주가 더 뛰어났다. 더욱 놀란 사명당은 3차전으로 이번에야말로 하면서 오른손을 들자 하늘에 구름이 모여들어 금세 소나기가 쏟아졌다. 서산대사는 "대사의 도력도 참으로 놀랍군요. 허허허……." 말을 마친 서산대사는 손을 들어 내리는 빗줄기를 거꾸로 하늘로 솟아오르게 했다. 땅에는 한 방울의 비도 떨어지지 않게 만든 것이다. 3차전마저도 사명당이 진 셈이다. "대사님, 제가 졌습니다. 이제부터 대사님의 제자가 되어 열심히 배우겠습니다." 사명당은 큰절을 하고는 서산대사의 제자가 되었다.
그 후 임진왜란 때 그 밑에서 도를 닦은 사명당은 왜장 가토(加藤淸正·가등청정)와 세 번이나 만나 담판을 짓고, 1604년에는 국서(國書)를 가지고 단신으로 일본에 건너가 도쿠가와(德川家康.덕천가강)을 만나 강화를 맺고, 포로 3500여 명을 데리고 돌아오는 등 스승과 제자가 일심(一心)이 되어 불교발전은 물론 구국활동에도 일체(一體)를 보였다.
스승은 무범무은(無犯無隱)이라한다. 이는 나의 정신(精神)을 길러주시는 분으로 예(禮)로써 맺어진 사이이다. 따라서 스승에게는 잘못이 있어도 대들거나 따질 수가 없다. 그러나 그 잘못을 숨겨주어서는 안 되고 은밀히 고해서 스승이 스스로 깨달아 잘못을 고치게 하자는 뜻이다.
과거에는 스승의 존재를 그림자도 밟지 않는 거룩한 존경의 대상으로 여기고 실천했다. 그 이유는 옛적 서당(書堂)에서는 스승에게 학문은 물론 인성과 도덕, 윤리 등 인간으로서의 '올바른 삶의 가치'를 배웠기 때문이다. 요즈음은 학생을 가르치는 직책을 선생, 교수라고 한다. 그런데 단지 지식과 학술을 가리키면 그 임무를 다한 것으로 점차 바뀌어 가고 있다.
사회생활이 어디 지식과 학술로만 살아갈 수 있는가?
스승의 날을 맞아 이제부터라도 가르침과 배움이 지식은 물론 인문, 교양을 함께 고양(高揚)시키는 교육환경으로 발전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해서 하는 말이다.
동서고금(東西古今)을 막론하고 최고의 스승은 부모라고 생각된다.
옛말에 부모는 형체이고 자녀는 그림자이다. 형체가 바르면 그림자도 바르고, 형체가 바르지 못하면 그림자 또한 바르지 못한다.(父母者形 子女者影, 形正則影正 形不正則亦不正 : 부모자형 자녀자영, 형정즉영정 형부정즉역부정)
모두들 5월만이라도 자신을 돌아보고 자녀에게 최고의 스승이 되었으면 한다.
장상현/ 인문학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