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 영호는 군대에 입대했다. 비상 계엄령이 선포됐고 어리버리한 신병은 길을 잃은 소녀를 눈감고 보내주려다 오발로 죽이고 만다. 자신의 발도 총상을 입었다는 사실을 잊은 채 소녀를 부둥켜 안고 오열한다. 첫사랑 순임이 편지와 함께 보내준 박하사탕을 먹지 않고 모아둘 만큼 순수했던 청년이기에 그 죄책감은 이루어 말할 수 없었을 터. 참혹한 시대 속 순간의 실수는 그렇게 한 사람의 삶을 송두리째 흔들어 버리는 계기가 된다.
1984년 제대 후 영호는 형사가 됐다. 선배의 권유에 울며 겨자 먹기로 고문을 시작한다. 1987년 운동권 학생에 대한 고문 수사는 절정에 달한다. 본분(?)에 충실했던 나머지 영호는 회식까지 마다하며 일하는 악랄한 고문관이 돼버렸다. 숨어있던 악마 같은 본능이 깨어난 걸까. 세상이 괴물을 만든 걸까. 어리숙하고 사랑에 눈물짓던 그는 더이상 없었다. 시간이 흘러 첫사랑과 재회한 영호. 착해 보이고 다부진 손이 좋았다는 그녀 앞에서 여종업원의 엉덩이를 더듬고는 말한다. "제 손 이제 더러워요." 1999년 어느덧 마흔이다. 영호는 가장이 됐고 IMF까지 겪으며 찌들만큼 찌들어 인생이 괴롭다. 기찻길을 역방향으로 마주하고 선다. 순수했던 시절이 주마등처럼 스친다. "나 다시 돌아갈래!!!" 이창동 감독의 영화 '박하사탕'속 한 남자의 삶은 그렇게 끝났다.
잔혹한 폭력을 휘둘렀던 가해자. 거시적 관점으로는 당시 군인이고 형사였던 모두가 해당될 수 있다. 하지만 미시적 관점으로는 피해자이기도 하다. 군부독재라는 불운했던 시대적 상황의 희생양이기 때문이다. 그들도 철저한 소시민이었고 수동적인 인간이었을 뿐이니라. 권력에 굴복시키고 영혼을 무참히 짓밟았던 그때, 선택의 기로 앞에서 온전히 자유로울 순 없었을 것. '그땐 그랬지'하고 웃어 넘길수 없는 수치가 지금도 정신을 괴롭히고 있을지 모른다. 과연 그 보상은 어디에서 받을 수 있는
걸까.
며칠 뒤면 5.18 민주화 운동 40주년을 맞는다. 진압 작전의 최종 책임자인 전두환 씨에 대한 진상 규명도 이제는 마침표를 찍었으면 한다. 죄의식과 트라우마에 휩싸여 삶을 보낸 '영호'들의 양심 고백과 증언도 기대한다. 당시 거리로 나왔던 수많은 학생과 시민은 물론이고 그 시대를 견뎌낸 모두가 진정성 있는 위로를 받아야만 하기 때문이다. 국가 부패를 정신적, 육체적으로 감당해야만 했던 권력 아래의 '을'들 말이다.
과거는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문제가 아니다. 잘못된 역사는 바로 세우고 되풀이하지 않아야 한다. 지난날의 상처는 매듭짓고 두터운 새 갑옷을 입어야 할 때다. 더이상의 아픔은 없어야 한다.
편집2국 김시내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