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무리 제공 |
피터 라인보우 지음│박지순 옮김│갈무리
국어사전 속 메이데이는 '예로부터 서양에서 5월 1일에 베풀어 오는 봄맞이 축제'이자 '매년 5월 1일에 여는 국제적 노동제'로 정의된다. 긍정과 생명의 사랑 그리고 봄의 시작을 의미하면서 착취, 억압, 불행, 투쟁과 혼란의 자본주의 체제 종말을 동시에 말하는 셈이다.
노동절 130주년인 올해 국내 출간된 피터 라인보우의 『메이데이』는 사전적 정의처럼 나뉘는 메이데이의 역사를 두 가지 색으로 풀어낸다.
노동자의 날로서 메이데이는 붉은색이다. 일일 8시간 노동 쟁취를 위해 노동자들이 치열하게 싸웠던 1886년의 헤이마켓 투쟁을 기린다. 투쟁을 이어받아 1890년 국제 노동절이 제정됐지만 권력과 자본은 꾸준히 그 날의 의미를 억압했다. 미국에서는 이름이 바뀌었고, 노동절의 자리는 9월 첫째 일요일이 차지했다. 한국에서 정식명칭으로 통용되는 '근로자의 날'도 메이데이에서 투쟁의 붉은색을 지운 흔적이다. 따라서 저자는 붉은색의 메이데이를 여전히 쟁취해야 할 것으로, 미완의 것으로 본다.
또 다른 색인 초록색은 공유의 축제를 의미한다. 봄의 시작점인 5월 1일은 인류역사 속에서 새싹이 돋고, 사람들이 사랑을 나누는 축제의 날이었다. 세계 곳곳에서 축제가 열려 공유지에서 거둔 성과물을 나누고, 앞으로의 경작이 잘 되길 기원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러나 초록의 축제는 권력자들에 의해 지워졌다. 공유지를 사유화하려는 흐름이 생기고, 많은 공유지와 5월의 전통이 사라졌다. 축제의 날이었던 5월 1일은 점점 공유지를 회복하기 위한 투쟁의 시간으로 변해갔고, 붉은색의 메이데이는 그 투쟁을 노동자가 이어받아서 계속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결국 녹색 메이데이와 붉은 색 메이데이는 한 몸으로 이어진다.
'메이데이'라는 단어의 조난신호가 있다는 점과 연결해보면, 메이데이는 환경파괴와 바이러스로 인한 위기의 시대에 인류가 협력해야 할 근거로도 깊은 울림을 갖는다. 노동절로만 인식되는 그 날의 통념을 넘어 빼앗긴 공유지의 회복, 축제로서의 메이데이 역시 되살려내야 한다는 저자의 주장을 공감하게 하는 이유다. 그 공감은 '권력이 무너지고 공유지가 회복되며 더 나은 세상이 새로이 나타나리라는 미래의 가능성'으로 이어진다.
박새롬 기자 onoin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