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자 재난지원금을 '어떻게 쓸까'하며 사고 싶은 물건을 검색하기 바빴다. '코드리스(Codeless) 청소기'를 사고 싶다는 엄마, 일본 게임기를 사고 싶다는 둘째, 고기를 원 없이 먹고 싶다는 막내와 N분의 1로 나누고 싶은 나. 정작 카드 주인인 '세대주' 아버지는 떡 줄 생각도 없다.
엄마의 위시리스트 코드리스 청소기는 백화점, 대형 전자제품매장, 온라인에서 살 수 있다. 둘째의 신도림 한복판 긴 줄을 서게 했던 일본 게임기도 온라인 구매가 필요한 상황. 사용처만 두고 보면 살 수 있는 확률은 '0'에 가깝다. 정확히 나눠 쓰자는 내 요구는 지류로 받아써야 한다는 수고로움에 다들 고개를 내저었다. 소박하다고 비웃었던 막내의 '고기 원 없이 먹기'가 가장 달성하기 쉬워보였다.
그래도 청소기, 게임기를 살 수 있을까 검색을 하던 중 한 맘카페에서 비슷한 문의 글을 발견했다. '아들 게임기를 사주려 하는데 살 수 있는 곳이 있냐'는 내용이었다. 댓글이 꽤 많아 읽어보니 '아드님 게임기도 좋지만 소상공인을 위해 써주시는 건 어떨까요?'라는 답변이었다. 댓글 아래로는 동의한다는 댓글이 수없이 달렸다. 부끄러워지는 순간이었다.
'뭘 사야 잘 샀다고 소문이 날까'하며 위시리스트를 작성했던 내가 한없이 작아졌다.
퇴근길 사거리에 위치한 가게들 전봇대 사이로 '○○페이, 재난지원금 사용 환영'이라며 붙여놓은 현수막들이 나부끼고 있었다. 오매불망 다시 찾아올 손님들을 기다리고 있을 그들이 눈에 선했다.
'오늘은 어제 매출보다 더 오르길, 코로나 이전 매출의 반만이라도…'라며 저마다의 위시리스트를 적어놨을 소상공인들. 그들의 위시리스트는 일상으로의 복귀였다. 맘카페에 달린 그 댓글을 읽지 않았더라면 청소기를 구매할 수 있는 곳을 샅샅이 찾아 어떻게든 구매했으리라. 동생 게임기도 마찬가지였을 거다. N분의 1로 나눴어도 나를 위해 쓰는데 정신없었을 거다.
하지만 그들을 돕는 소비라면 말이 달라진다. 밥을 먹을 때에도, 옷을 살 때도, 장을 보러가더라도 그들이 운영하는 식당에서, 옷가게에서, 시장에서, 동네 슈퍼에서 소비한다면 나도 그들도 웃는 '기쁜 소비'가 되지 않을까. 물론 강제성은 없다. 다만, 나도 그들도 함께 웃을 수 있는 일상으로의 회복을 바라며 동참해보는 건 어떨까. 행복을 배로 채울 수 있는 '재난지원금 위시리스트'를 새로 적어본다.
편집2국 박솔이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