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도 미술비평가 |
코로나바이러스로 사람들 간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화되었다. 낮선 사람에 대한 물리적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다. 나를 비롯해 내 지인들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사람들과 만날 약속을 거의 하지 않는다. 눈으로부터 멀어지면 마음도 멀어진다는 말이 있다. 물리적인 거리는 자연스럽게 마음의 거리를 만들어낸다. 코로나 전후의 세계는 많은 것이 달라질 것이라고 말한다. 그중에서도 사람들 간의 사회적인 거리두기로 많은 것이 변화될 것은 분명하다.
COVID 19의 경우 감염자의 자각 증세도 없고 감염 2주 후에 증상이 발현되는 병리적으로 확인할 수 없는 2주로 인해 물리적 거리는 심리적인 불안으로 전이된다. 게다가 무증상 2주 동안에도 전염될 수 있기 때문에 자주 만났던 사람들 혹은 심지어 가족이라 하더라도 만날 때 마다 매번 새로운 경계심을 가지게 될 수도 있다. 지금처럼 백신이나 치료약도 없어 질병으로부터 치유될 수 있다는 미래에 대한 안전장치가 부재하는 경우 그런 불안은 타자들에 대한 공격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미 서구에서 코로나바이러스의 발원지로 알려진 중국을 비롯해 아시아 사람들에 대한 배척 행위와 차별적인 공격이 언론과 방송을 통해 보도되고 있다.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팬데믹 이후의 상황에 관해 생각해봐야 할 두 가지 문제가 있다. 첫 번째는 기존 사회의 관습적인 문화가 유지될 수 있을까에 관한 것으로 개인주의를 넘어 분명히 예전보다 더 강화된 개별화된 삶의 태도들이 일상화될 수 있을 것이란 사실이다. 단순히 개인의 권리와 자유를 우선시하는 것만이 아니라 사회적 위생의 측면에서 자신의 물리적인 거리를 침해받지 않을 권리를 강하게 주장하는 개인들의 태도가 보편화됨으로써 물리적 정신적 불안을 야기하는 타인의 침해 행위에 대한 관용의 태도는 많이 후퇴할 것이다. 두 번째로 바이러스 감염병 이후 변화된 새로운 기술문화적 패턴들이 세대 간의 갈등 없이 보편적으로 수용될 수 있을까 같은 문제이다. 기성세대 중에 컴퓨터와 모바일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더욱 보편화 될 것으로 예상되는 비대면 문화에 적응하는 것이 쉽지는 않을 것이다. 어쨌든 이 두 가지 특성으로 인해 진실과 배려, 서로 간의 신뢰를 기반으로 구축되는 (가상)공동체라는 좀 더 원칙적인 가치들이 중요해질 것이다.
이번 코로나 사태의 와중에서 한국의 바이러스 진단키트 수출은 이메일과 화상통화를 통해 성사되는 경우가 많았다. 물건 샘플을 보지 않고 구매한다는 것은 상대방에 대한 믿음이 전제되지 않고서는 불가능한 일이다. 팬데믹 이후 새로운 비대면 교륭와 경제 행위가 검증받는 방법 중 예상할 수 있는 것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다. 두 기술은 상대방의 진위 여부와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COVID 19로 서로 간의 신뢰는 단순히 행동뿐만이 아니라 상대를 존중하는 양심과 진실의 문제로 까지 연결된다. 문화적 거리는 진실과 신뢰를 기반으로 재구축되는 글로벌 공동체의 새로운 모습을 반영하는 상징적인 언급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문화는 양심, 배려, 신뢰, 믿음 등과 같은 개념들을 전제로 개화한다.
정용도 미술비평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