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도 잦고 많은 비용이 드는 개인 자가용은 지우개로 지우고 일부 구역을 아예 개인차량 진입 제한구역의 안전한 보행환경을 그린다.
자가용이 없는 대신 내가 부르면 찾아와 태워주는 셔틀형 공유차 또는 자율운행 자동차 그리고 긴급차량만 오가는 도로를 작게 배치한다.
소음과 미세먼지, 보행자 수 등을 감지할 수 있는 80여 가지 센서가 부착된 가로등을 세우고 통신망으로 서로 연계시킨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
도시에서 발생했다가 사라지는 수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의미를 해석하는 도시데이터가 만들어질 것이고 시민이 겪는 불편을 해소하고 나아가 예방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내가 사는 도시에 건물과 도로, 수자원, 교통체계 등 도시의 물리적 구성 요소와 체계를 컴퓨팅 환경에 디지털화해 가상의 도시를 만들어 시뮬레이션을 한다면 만약에 발생할 수 있는 발전격차 등의 도시생애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이를 통해 앞으로 발생할 도시문제가 예상되고 선택 가능한 정책수단에 따른 비용대비 효과 등을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으니 혈세낭비라는 용어가 사라질 지 모른다.
근대시대의 도시였다면 저수지 형태의 호수를 그려 도시민들이 생활용수로 사용하거나 화재에 진화용수로 사용했겠지만, 미래 도시엔 방대한 데이터를 원형 그대로 저장해 누구나 가져다 쓸 수 있는 데이터저수지(DataLake)가 필요할 것이다.
교통과 기후환경, 비식별화된 개인 건강정보, 행정정보 등 양질의 도시 핵심 데이터를 모으고 수도관을 연결하듯 통신망으로 연결해 누구나 서비스 개발과 풀질 향상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반대로, 스마트교통 해킹으로 인해 교통마비나 자율주행 셔틀 해킹을 통한 제어권 탈취, 통신 세션 도청 및 트래픽 분석을 통한 데이터 유출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사이버 보안 통합관제소 형태의 가상의 사법기관도 하나 그려 넣는다.
이렇게 완성된 미래도시 그림은 기자의 상상이 아니라 세종시 5-1생활권에서 국가시범사업으로 추진 중인 스마트시티 사업계획에서 가져왔다.
도시문제를 해소하고 새로운 산업생태계를 만들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전에 없던 도시를 만들겠다는 정부의 야심찬 포부가 느껴진다.
그러나 정부의 역할은 미래도시의 비전을 '공모 지침서' 형태의 간단한 문서로 제시하는 데 그치고 스마트도시를 구축하고 최소 15년간 유지·운영하는 역할은 민간기업에 맡겨졌다.
세종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에 자본과 기술을 투입해 혁신서비스를 제공할 민간기업을 모집하는 공모가 시작됐다.
투자와 이윤이라는 굴레를 벗어날 수 없는 스마트도시가 높은 분양가로 특수계층을 위한 도시가 되는 건 아닌지, 혁신이라는 이름의 서비스가 시민들에게 이용되지 않고 시 보조금을 먹는 블랙홀이 되는 건 아닌지 주시할 일이다.
사람을 담지 못한 기자의 스마트도시 그림과 달리 국가시범도시 세종 스마트시티에서는 인간소외에 답하는 도시계획이 되길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