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거를 앞둔 용문동 1.2.3구역 일대 모습. 이곳은 여전히 사람들이 보행하는 골목이고, 곳곳에 이주하지 않은 주민들의 집들도 있다. 사진=이해미 기자 |
①[르포] 철거가 시작된 대전 서구 용문동 1·2·3구역
우르르 쾅쾅. 맑은 하늘에 천둥이 내리꽂힌다. 가림막 안쪽 세계는 오늘도 무너진다. 불규칙한 중장비 소음이 들려올 때마다 콘크리트 조각들이 하늘 높이 쌓인다. 가림막 바깥쪽 세상은 폭풍전야다. 동쪽에서 북쪽으로 용문동 일대를 감싸는 장막이 하나둘 늘어만 간다. 새로운 삶의 터전으로 변신을 꿈꾸는 용문동 1·2·3구역 재건축사업현장에서 철거가 시작됐다.
"고향이던 세종을 떠나 용문동에 정착했던 1950년엔 집이 10채도 안 됐어요. 우리 아버지가 흙으로 덧발라서 집을 만들었는데, 대들보며 구들장까지 직접 만드셨죠. 큰 역사랄게 없는 동네인데, 그래도 몇몇 집은 나름 추억이 있을 거예요."
용문동 1·2·3구역 조합의 배려로 류완희 조합장의 아버지가 지은 집으로 향했다. 재개발 구역을 항공뷰로 찍은 사진을 보면 조합장의 집은 다른 집들과는 방향이 다르다. 다른 집들은 열 맞춰 동쪽으로 나란히 서 있지만 70년 동안 자란 나무를 품은 이 집은 '동서'로 확연히 틀어져 있다. 이곳에서 가장 오래된 집이라는 증거다.
1950년대에 지어진 흙집. 부엌과 방, 다락방까지 있다. 이주하며 잡동사니가 널려있지만 류완희 조합장은 이곳에서 부모님과 7남매가 살았다고 한다. 사진=이해미 기자 |
류완희 조합장은 "아버지가 직접 지으셨지만 살면서는 불편했죠. 비만 오면 물을 퍼냈고, 짚으로 지붕을 올린 탓에 수차례 바꾸기도 했고요. 그래도 7남매가 옹기종기 컸고, 좁은 집인데 셋방도 줬던 기억도 나네요"라며 옛 추억을 떠올린다.
순복음교회 뒷골목은 철거가 시작된 길 건너편과는 상황이 조금 달랐다. 반대편 수풀들이 제멋대로 자랐다면 이쪽은 여전히 사람의 손길을 탄 집들이 있었다. 아직 이주하지 않은 주민들이 남아있는 탓이다.
이주를 앞둔 한 주민은 "이쪽 철거까지는 아직 시간이 남아 있어서 조금 더 살려고 한다"며 "평생을 살았기 때문에 쉽게 떠나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용문동 1·2·3구역은 본격 재개발이 논의되면서 2017년 문화재 지표조사를 통해 동네의 개괄적인 역사는 기록해뒀다. 다만 떠나간 이주민들의 기록은 남기지 못했다. 평범한 도시형 마을이었다는 이유로 기억과 기록을 남길 시도조차 해보지 못했다.
류완희 조합장은 "용문동은 30년 이상 된 집들이 대다수다. 830세가 살았는데 사라지는 것들이 왜 아쉽지 않을 수 있겠나. 오전에도 아버지 집 다녀왔다. 많이 아쉽다. 용문동 1·2·3구역은 이렇게 재개발 바람에 사라지지만, 다른 동네라도 기록으로 남길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골목골목을 돌아 용문동을 빠져나오던 길, 팔십이 훌쩍 넘은 노인과 마주쳤다. 약봉지를 든 노인은 "용문동의 역사? 여기는 딸기밭이 많았지. 유등천에서 멱 감고 놀기도 했고. 아주 먼 옛날얘기라 다들 잘 모르지"라며 오래된 골목으로 걸어갔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주민들이 떠나고 남은 집들. 용문동에는 1970년대 지어진 양옥 형태의 주택들이 많았다. 사진=이해미 기자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