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득용 전 대전문인협회장 |
천지가 환한 꽃 세상에 홀려 백치 아다다 처럼 탄성을 지르는 동안 다시는 나비의 날갯짓을 할 수 없는 꽃들이 스스로의 무게로 천천히 포물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꽃의 낙하속도는 초속 5㎝라지요. 그 짧은 순간 우리는 꽃의 일생을 탄식하기 보다는 그저 황홀함에 취하여 허공에서 지상으로 떨어지는 저 꽃들의 하직인사를 두고 누구는 꽃비라 하고 누구는 눈꽃이라고도 하지만 아무려면 어떻습니까. 맞아도 맞아도 아프지 않은 꽃비는 감탄의 언어이지요. 저 풍경 너머로 벌써 가지 끝마다 맹아(萌芽)들이 꼬물꼬물 기어 나오면서 연두의 숲은 반짝이는 햇살로 어룽지기 시작합니다. 그렇습니다. 저 꽃이 지는 것도 신록의 세상이 오는 것도 봄의 퇴고인 것이 분명한 자연의 질서라면 우리는 살아가면서 매순간 헛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주말에 시골을 다녀왔습니다.
해발 1097m 운달산 산자락의 문경문학관은 아직 소소리 바람이 차가웠지요. 명자꽃 박태기나무는 꽃을 피우지 않았으나 정원과 텃밭에는 꽃다지 양지꽃 자운영 제비꽃 야생화들이 4월 민초 동학군처럼 아우성입니다. 문학관 도서 DB를 정리하고 있는데 며칠 전 청년지역정착공모사업이 선정되었다며 들뜬 목소리로 전화를 했던 C가 찾아왔습니다. 그녀를 처음 본 것은 6개월 전 문경예술회관 전시장이었지요. 명함을 받고는 생면부지의 나에게 다짜고짜 저녁을 함께하고 싶다는 도발적인 프로포즈에 당혹함으로 어정쩡하였지만 식사를 하면서 문경에 문학관을 건립한 분이 대체 어떤 분이었는지 궁금하여 기회가 된다면 꼭 한번 만나고 싶었답니다. 우리는 오랫동안 만나온 사람들처럼 문화예술 담론을 이야기하며 인구감소의 열악한 지역 인프라에도 시대변화에 따른 새로운 미래가치를 창출하고자 청년일자리사업에 열심인 그녀의 속셈이 궁금해지기 시작하였습니다. 유년시절 형용할 수 없는 지독한 가난과 불행한 가족사에도 담담하게 "삶을 대하는 태도와 세상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나의 노력들이 모이면 주변사람들의 삶이 조금은 더 나아지지 않을까" 하는 이타심은 오롯이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았다는 정갈한 지천명의 고백이 다정한 밤이었습니다. 지난 30년 동안 벽화봉사와 문화예술협동조합창립, 청년U턴일자리사업을 셋업 시키며 2018년에 관광두레 PD가 되었고, 공무원도 아니면서 청년몰, 인구감소 공모사업, 고향쉼터, 경북산업유산지정사업과 올해에는 인구감소지역 후속사업 소프트웨어진행비 2억2천과 행안부 청년지역정착공모사업비 6억 확보에 일조를 한 그녀는 바로 문경문화예술계의 잔다르크 천금량 선생입니다. 세상을 바꾸는 데에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만 세상은 신의 섭리와 같아서 혼자서는 살 수 없고 혼자만 잘나서도 살 수 없다며 "내가 만나고 싶은 세상"은 우리 문경이 좀 더 살기 좋은 행복한 동네였으면 좋겠다는 그녀의 소박하고도 담대한 꿈에 어느덧 동행자가 되고 있었습니다.
공자는 "군자의 덕은 바람과 같고 소인의 덕은 풀과 같은 것이라 바람이 불면 반드시 바람에 쏠리어 따르게 마련이다" 하였지만 풀은 권력자의 강풍에 쓰러지는 민초들이 아니라 풀을 눕게 하는 것은 군자이므로 바람은 곧 군자의 덕 있는 가르침이지요. 민심이란 자연이 때를 늦추는 법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코로나19의 어려움 속에도 4.15총선은 무사히 끝났습니다. 그러나 세계경제와 외환위기의 코로나 팬데믹은 우리를 더욱 불안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복기(復棋)는 바둑의 용어이지만 이제 정치권에서는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외교안보가 튼튼해지는 원인과 반성, 탐구를 통한 향상의 복기로 국민들이 행복해지는 국가를 만들어나가야 할 것입니다. 성찰 또한 철저한 회의(懷疑)로부터 출발하지만 소설가 조정래는 관찰 통찰 성찰 하는 과정을 통해 글을 쓰고 그런 방법으로 디자인하는 삶이 성찰하는 삶이라고 했지요. 그래요, 우리 모두 스스로의 마음과 행동을 다시 한번 살피며 사람을 하늘과 같이 섬기는 사인여천(事人如天)의 5월이 되었으면 합니다.
권득용 전 대전문인협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