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여곡절 끝에 제 21대 국회위원 선거가 마무리 되었다. 이제 새로운 밝은 사회가 되기를 진심으로 희망한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고장(충청도)의 멋진 정치가 한 분을 소개하고자 한다.
조선 초기의 문신 맹사성(孟思誠)은 황희(黃喜)와 함께 조선 최고의 재상으로 추앙받는 인물이다. 맹사성은 1360년 7월 17일 수문전제학 맹희도(孟希道)의 맏아들로 온양(溫陽)에서 태어났다. 자(字)는 자명(自明), 호(號)는 고불(古佛)이다.
본 이야기는 해동명신록(海東名臣錄)에 그 출전을 확인 할 수 있다. 이 고사는 재상이라는 높은 자리에 있으면서도 소탈하면서 겸손하고, 청렴하며, 맡은 바 책임을 완수하는 사람을 비유할 때 쓴다. 글자는 牛(소 우), 乘(탈 승), 政(정사 정), 丞(정승 승, 도울 승)이다.
이야기를 요약해본다.
수재(秀才)였던 맹사성은 열아홉 살에 장원급제하여 스무 살에 경기도 파주 군수(郡守)가 된다. 그는 기고만장(氣高萬丈)하여 고승(高僧)을 찾아갔다.
맹사성은 "스님이 생각하기에 군수로서 지표로 삼아야 할 좌우명(座右銘)에 어떤 것이 있습니까?"
고승이 대답하길 "나쁜 일 하지 말고 착한 일을 하면 됩니다."
맹사성은 "그건 삼척동자도 다 아는 사실 아닙니까? 먼 길을 온 내게 해 줄 말이 고작 그것뿐입니까?"라고 거만하게 말하며 자리에서 일어나려 했다.
그러자 고승은 녹차나 한 잔 하고 가라며 붙잡았다. 그런데 스님은 잔이 넘치는데도 계속 찻물을 들이부었습니다.
맹사성이 "스님 찻물이 넘쳐 방바닥을 망칩니다."
고승이 점잖게 "찻잔이 넘쳐 바닥을 적시는 것은 아시면서 지식이 넘쳐 인품을 망치는 것은 어찌 모르십니까?"
당황한 맹사성은 부끄러움에 황급히 일어나 자리를 뜨려고 문을 나가다 방문 상단에 머리를 부딪치고 말았다.
그때 스님이 말씀하시기를 "고개를 숙이면 매사 부딪치는 법이 없지요."
그 이후로 맹사성은 겸손한 마음으로 선정을 베풀어 존경받는 인물이 되었다고 한다.
조선 세종(世宗) 때 좌의정에까지 올랐던 맹사성이 온양에 계신 부모님을 뵈러 길을 떠났다.
그는 워낙 소탈한 성품이라 번거로운 행차 대신에 소를 타고 시동(侍童)에게 고삐를 잡게 하여 단출하게 길을 나서니 영락없이 시골 노인의 모습이었다.
그런데 온양에서 가까운 고을의 사또들이 서울에서 정승(政丞)이 내려온다는 소식을 듣고 길목에 나와서 차일(遮日)을 치고 성대하게 환영할 준비를 하고 있었다.
그런데 때가 지났는데도 정승의 행차는 나타나지 않고 소를 탄 한 초라한 노인이 지나가는 것이었다.
짜증이 난 사또들이 형방더러 그 노인을 잡아오라고 했다. 형방이 쫓아가자 소를 탄 노인이 말했다.
"온양 사는 맹고불(孟古佛)이라고 하면 사또께서 꾸짖지 않을 걸세!" 형방이 돌아가 노인의 말을 전하자 사또들은 깜짝 놀랐다. 고불(古佛)은 맹사성의 호(號)다.
혼비백산한 사또들이 맹사성을 쫓아가 머리를 조아리며 잘못을 빌었으나 맹사성은 뒤도 돌아보지 않고 가버렸다.
그는 같은 시대를 살았던 황희(黃喜)와는 대조적이었다. 황희가 모든 일에 분명하고 정확하며 강직했다면, 맹사성은 어질고 부드럽고 섬세했다.
그래서 황희가 학문적이고 근엄했다면, 맹사성은 유연하고 너그러우며 예술가적인 인물이었다. 때문에 황희가 병조(兵曹)나 이조(吏曹)의 과단성 있는 업무에 능했다면 맹사성은 예조(禮曹)나 공조(工曹) 등의 업무에 더 능했다.
세종은 쌍두마차와 같은 두 사람의 성향을 고려하여 부드러운 업무는 맹사성에게, 변방의 안정과 육진(六鎭)을 개척하고 사군(四郡)을 설치하는 일은 황희에게 맡겼다.
'겸손(謙遜)'이란 나의 재능과 권위, 장점 등을 낮추거나 양보하여 상대를 이롭게 해 주는 영향력의 표현이다. 그런데 그게 쉽지 않으니 문제다. 성공할수록 겸손은 멀어진다.
겸손은 영어로 Humility이다. 어원은 Humus(흙을 뜻하는 토양)이다. 낮은 땅의 위치에서 만물을 길러내 상대를 이롭게 하는 위대한 행위에서 겸손이라는 말이 생긴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해본다.
장상현 / 인문학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