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스터트롯'을 제작한 서혜진 국장에 의하면 "대중은 모르는 사람을 좋아하고, 미지의 사람이 폭발력을 보여주는 것에 환호한다"며, 예능의 본질은 스타를 만들어 내는 데 있다고 한다. 그의 주장과 소신이 맞아떨어진 덕일까? 새로운 얼굴에 환호하고, 누가 1등 해도 이상하지 않은 출연자, 끝까지 결과를 알 수 없는 대결 양상이 강렬한 관심을 불러일으킨 것으로 분석되기도 한다. 실력도 실력이지만, 출연자마다 차별화된 개성과 특별한 스토리를 지니고 있다는 점도 관심의 대상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트로트는 1930년대 전후로 정착된 대중가요 양식이다. 신민요와 더불어 대중가요 양대산맥을 이루었다. 우리 전통음악과 같이 장조인 경우 '파'와 '시'를 제외한 오음계를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일본 엔카의 번역, 번안으로 시작되었기 때문에 왜색 문화로 치부되기도 하고, 그 이유로 다수의 노래가 금지곡이 되기도 한 흑역사가 있다. 때로는 '뽕짝'이라 비하적으로 명명되기도 했다. 실제로 대중음악 자체는 물론 트로트를 천시하는 또래가 많았던 기억이다.
처음엔 단조 노래가 많아 애절한 내용이 다수였다. 중장년층은 기억할 것이다. 이난영, 남인수, 황금심, 김정구 등의 노래가 당시는 물론 이후 오랫동안 애창되었다. 1940년 「나그네 설움」을 시작으로 장조 트로트가 등장한다. 트로트 유행은 해방 후에도 지속된다. 이때 현인도 데뷔한다. 분단과 전쟁을 겪으면서, 「단장의 미아리고개」,「가거라 삼팔선」, 「이별의 부산정거장」 등 고통스러운 시대 상황을 반영한 노래들이 등장하여 국민의 지친 심신을 달래준다. 1950년대 후반 미국 팝이 안착하면서 쇠락 조짐을 보인다. 1964년 이미자의 '동백 아가씨'를 시작으로 다시 트로트가 부활하여 1970년대 초까지 인기를 누린다. 이때가 배호, 문주란, 조미미, 남진, 나훈아, 하춘화 등이 왕성한 활동을 하던 시기이다. 포크송, 록이 유행으로 떠오르다가 1976년 조용필의 「돌아와요 부산항에」를 필두로 다시 트로트가 인기몰이를 시작한다. 이때 록사운드와 트로트 선율을 결합한 노래가 등장 변신에 성공하기도 한다. 그로 빛을 본 가수들이 최헌, 윤수일 등이다. 록의 샤우팅을 소화하기도 한다. 점차 익숙하고 편안한 양식이 되어 트로트 소비층이 중장년으로 밀리는 양상을 보인다. 1980년대에는 보다 밝은 트로트 풍이 유행하는데, 비극성을 없애고, 꾸밈음을 강화하는 특색을 지닌다. 주현미, 현철, 문희옥 등이 이에 해당하는 인기 가수다. 여전히 단조 트로트로 비극성을 유지한 김수희, 심수봉 같은 가수도 있다. 1982년 데뷔한 설운도가 부른 「잃어버린30년」은 당시 이산가족 찾기로 온 국민이 눈물바다를 이룰 때, 주제곡으로 선정되어 대단한 사랑을 받기도 한다. 1990년대에는 유흥자리에서 흥을 돋우는데 적합한 신나는 노래로 바뀐다. 이전에 유행했던 「소양강 처녀」, 「남행열차」등도 이런 방식으로 널리 불린다. 새롭게 발표된 태진아, 설운도 등의 노래 역시 변화된 분위기를 담는다. 노래방이 변화의 중심에 있었지 않았나 생각된다. 2000년대 장윤정이나 박현빈 등이 등장하면서 트로트가 더욱 신나고, 화려해진다. 5음계를 유지하던 방식도 사라지고 오히려 팝에 가까워진다. 요즈음에는 트로트가 특정한 음악 양식이라기보다 옛노래 경향으로 불리는 다양한 대중가요를 통칭하는 말로 쓰이는 듯하다.
차하순 교수의 말을 자주 인용한다. 전통에는 '고유한 것'과 '우리의 것'이 있다. 고유한 것은 보다 오랫동안 우리와 함께 한 것이고, 우리의 것은 비교적 짧은 기간이지만 소화되어 함께 한 것이다. 문화예술은 어차피 교류하며 재창조되는 것이다. 물과 같다. 없는 곳, 낮은 곳이 있으면 절로 흘러드는 것이다. 흐름이 잘못된 것이 아니다. 새롭게 태어나는 것은 모름지기 작가의 몫이다. 선악이 있는 것도 아니다. 심화시키는 것 역시 문화 생산자의 몫이다. 서로 어울려 각각 발전하기도, 새로이 생성되기도 하는 것이다.
돌이켜보니 트로트가 우리 애환을 담아낸 지도 한 세기가 다 되어간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천시되고 멸시되기도 했다. 그런가 하면 전통가요, 성인가요로 명명된 적도 있다. 이제 트로트도 우리 전통문화가 된 것은 아닐까? 새로운 문화창달은 고스란히 이 시대를 살아가는 너와 나의 과제요 사명이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