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칼럼]코로나 단상

  • 오피니언
  • 사이언스칼럼

[사이언스칼럼]코로나 단상

정영욱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

  • 승인 2020-04-09 17:03
  • 신문게재 2020-04-10 18면
  • 임효인 기자임효인 기자
ㅇ
정영욱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
한 두어 달이면 끝이 보일 거라고 생각했던 코로나 사태가 점점 더 공포로 다가오고 있다. 병증에 더해서 우리 삶의 사회·경제적 근간마저 무너뜨릴 것 같은 위협이 하루하루 더해지고 있다. 어쩌면, '인류 역사상 가장 평온했던 시기가 역병으로 끝을 맺나' 하는 근거없는 두려움도 든다. 기후변화는 인간 욕망의 폭주가 지구를 위협한 결과라고 했다. 그렇게 인류는 수많은 동식물을 멸종시키고 이제는 지구마저 위협하고 있는데, 생명체의 형태도 제대로 갖추지 않은 바이러스의 공격에는 속수무책이다. 하지만 조금만 관심을 가지고 뒤돌아보면 이보다 훨씬 더 끔찍한 역병의 공포가 인류 역사 곳곳에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경험은 이미 우리의 삶과 사회를 계속 변화시켜왔다.

아이러니하게도 중세 유럽에 페스트(흑사병)가 전파되기 시작한 것도 이탈리아를 통해서라고 한다. 1347년 10월 시칠리아에 크리미아로부터 12척의 상선이 도착했다. 선원의 대부분이 끔찍한 괴질로 사망한 상태였고, 그나마 살아남은 선원들도 심각한 상황이었다. 이후 이탈리아 전역에서 순식간에 같은 증상의 감염자가 발생했다. 프랑스에서도 그해 연말에 처음 감염이 보고된 후, 이듬해에는 전역으로 퍼졌다. 이 끔찍한 전염병은 이내 이웃 남쪽 이베리아반도로 전파됐고 1349년에는 바다를 건너 영국을 덮쳤다. 불과 3년 뒤인 1350년에는 유럽 전역으로 퍼졌다. 특히 인구가 밀집한 대도시에 엄청난 피해를 끼쳤다. 1352년까지 수천만 명이 죽고 나서야 비로소 확산이 멈췄다고 한다. 페스트 대유행은 유럽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서기 700년경 2700만 명이었던 유럽 인구는 1300년경 이미 7300만 명으로 급증한 상태였다. 하지만, 페스트와 기근으로 1400년경에는 4500만 명까지 줄어들었다. 유럽인들의 평균수명도 13세기에 35세였다가 페스트 창궐기에는 17세까지 급감했고, 1400년경에도 20세에 머물렀다고 한다. 전염병 하나가 인구의 급감, 농산물 수요와 영주들의 수입 감소, 농민들의 이동을 만들어냈다. 봉건적 질서가 무너지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 그리고 주위에서 쉽게 접할 수 있었던 주검과 죽음의 공포는 이전에 가졌던 종교와 윤리 관념을 송두리째 바꾸는 계기가 됐다.

세월이 무척 흘렀고, 이제는 병원체가 세균인지 바이러스인지도 정확하게 알게 됐다. 하지만 전염병에 대응하는 우리의 방법은 여전히 큰 차이가 없다. 그 당시는 사람이 거의 없는 시골로 도피했고, 지금은 최소한의 사회적 접촉과 최대한의 인적 거리를 유지하며 생활하고 있다. 필자도 연구소와 집을 오가며, 점심도 도시락으로 해결하고 있다. 저녁이 다가오면 오늘은 뭐 해 먹지 하는 아내 걱정을 대신 하기도 한다. 그러고 보니 주말이 아닌 저녁을 집에서 함께 했던 기억이 30여년 전 신혼까지 거슬러 간다. 물론 이후에도 평일 저녁을 집에서 먹은 적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매우 드물었다. 만남과 회의도 사라졌고, 그 많던 전자메일도 급감했다. 그러다 보니 연구에 집중하는 시간이 연구소에 처음 들어왔던 신입 때처럼 길고, 문제를 해결할 때까지 방해받는 일도 없다. 과학자를 희망하면서 꿈꾸었던 지극히 단순한 생활을 다시 가져다 준 것은 놀랍게도 코로나였다.

우리 사회는 앞으로 많은 부분이 달라질 것이다. 대부분은 우리가 고통으로 감내해야 하고 그렇지만 또 예상치 못했던 변화들에 크게 상심할 것이다. 스스로에게 반문해본다. 미래 사회에서 과학자, 연구원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나? 더 절박해진 상황에서도 나는 진정 필요한 존재일까? 코로나를 겪으면서 다시 발견한, '내가 진정 욕망했던 나 자신'이 이기적인 호사(豪奢)가 아닐까 하는 두려움으로 코로나가 준 뜻하지 않은 선물을 챙겨본다. 정영욱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학대 마음 상처는 나았을까… 연명치료 아이 결국 무연고 장례
  2. 원금보장·고수익에 현혹…대전서도 투자리딩 사기 피해 잇달아 '주의'
  3. 김정겸 충남대 총장 "구성원 협의통해 글로컬 방향 제시… 통합은 긴 호흡으로 준비"
  4. [대전미술 아카이브] 1970년대 대전미술의 활동 '제22회 국전 대전 전시'
  5. 대통령실지역기자단, 홍철호 정무수석 ‘무례 발언’ 강력 비판
  1. 20년 새 달라진 교사들의 교직 인식… 스트레스 1위 '학생 위반행위, 학부모 항의·소란'
  2. [대전다문화] 헌혈을 하면 어떤 점이 좋을까?
  3. [사설] '출연연 정년 65세 연장법안' 처리돼야
  4. [대전다문화] 여러 나라의 전화 받을 때의 표현 알아보기
  5. [대전다문화] 달라서 좋아? 달라도 좋아!

헤드라인 뉴스


대전충남 행정통합 첫발… `지방선거 前 완료` 목표

대전충남 행정통합 첫발… '지방선거 前 완료' 목표

대전시와 충남도가 행정구역 통합을 향한 큰 발걸음을 내디뎠다.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지사, 조원휘 대전시의회 의장, 홍성현 충남도의회 의장은 21일 옛 충남도청사에서 대전시와 충남도를 통합한 '통합 지방자치단체'출범 추진을 위한 공동 선언문에 서명했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수도권 일극 체제 극복, 지방소멸 방지를 위해 충청권 행정구역 통합 추진이 필요하다는 데에 공감대를 갖고 뜻을 모아왔으며, 이번 공동 선언을 통해 통합 논의를 본격화하기로 합의했다. 이날 공동 선언문을 통해 두 시·도는 통합 지방자치단체를 설치하기 위한 특별..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8. 대전 중구 선화동 버거집
[대전 자영업은 처음이지?] 지역상권 분석 18. 대전 중구 선화동 버거집

자영업으로 제2의 인생에 도전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정년퇴직을 앞두거나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신만의 가게를 차리는 소상공인의 길로 접어들기도 한다. 자영업은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음식이나 메뉴 등을 주제로 해야 성공한다는 법칙이 있다. 무엇이든 한 가지에 몰두해 질리도록 파악하고 있어야 소비자에게 선택받기 때문이다. 자영업은 포화상태인 레드오션으로 불린다. 그러나 위치와 입지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아이템을 선정하면 성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이에 중도일보는 자영업 시작의 첫 단추를 올바르게 끼울 수 있도록 대전의 주요 상권..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충북은 청주권을 비롯해 각 지역별로 주민 숙원사업이 널려있다. 모두 시·군 예산으로 해결하기에 어려운 현안들이어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한 사업들이다. 이런 가운데 국토균형발전에 대한 기대가 크다. 윤 정부의 임기 반환점을 돈 상황에서 충북에 어떤 변화가 있을 지도 관심사다. 윤석열 정부의 지난해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발표한 충북지역 공약은 7대 공약 15대 정책과제 57개 세부과제다. 구체적으로 청주도심 통과 충청권 광역철도 건설,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구축,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구축 등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 3·8민주의거 기념관 개관…민주주의 역사 잇는 배움터로 운영 3·8민주의거 기념관 개관…민주주의 역사 잇는 배움터로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