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아기들은 흉내 내는 말이 들어간 동요나 책을 아주 좋아한다. 흉내 내는 말을 사용하면 소리는 더 생생하게 모양은 더 실감나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쌕쌕' '멍멍' ‘쿨쿨’ ‘덜커덩덜커덩’ 등의 사람이나 사물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소리를 흉내 낸 말을 의성어, '끄덕끄덕' ‘들썩들썩' '반짝반짝’ ‘깡충깡충’ ‘흥얼흥얼’ 등의 움직임이나 상태를 흉내 낸 말은 의태어라고 한다. 한국어는 세계의 언어 중에 가장 의성어와 의태어가 많은 언어다. 그 수는 약 8000어, 소형 사전에서도 2000어에서 3000어를 기재할 만큼 풍부하다. 의성어와 의태어는 일상생활 중에서도 회화나 문장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며 실용성이 있는 언어요소라고 말할 수 있다.
의성어와 의태어는 상황에 따라 단독형으로 쓰기도 하고 반복형으로 쓰기도 한다. 단독형이란 '눈물이 뚝 떨어졌다'처럼 한 번 일어난 행동이나 상태를 나타낼 때 쓰는 유형이다. 반복형이란 '눈물이 뚝뚝 떨어졌다'처럼 같은 행동이 지속적으로 나타날 때나 모양을 강조할 때 쓰는 유형이다.
왜 한국어에는 이렇게 많은 의성어와 의태어가 있을까? 그 이유는 한국어처럼 의성어와 의태어가 많은 일본어와 비교해보면 알 수 있다. 한국어는 연령이나 성별에 따라 의성어와 의태어의 사용이 달라지는데 예를 들면 아기가 소리 없이 입을 예쁘게 벌려 가볍게 한 번 웃는 모습을 표현하는 '방긋방긋'은 흔히 어른을 대상으로 사용하지 않고 어른 대상으로는 '생글생글'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또한 남자가 웃는 모습을 표현하는 '껄껄'은 여성이나 아이들에게 흔히 사용되지 않는다. 이런 식으로 한국어에는 대상자에 따라서 사용하는 표현이 바뀐다. 일본어에는 웃음을 표현하는 의성어와 의태어가 약20개 정도 있지만 연령이나 성별과는 상관없이 쓰인다. 또한 일본어에는 하나의 의성어와 의태어 속에도 여러 가지 의미가 담겨 있는 경우가 많지만 한국어에 번역하면 모두 다른 표현이 된다.
문장을 꾸며주어 더욱 생생한 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해준 의성어와 의태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면 훨씬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이 배우기에는 가장 어려운 것이 바로 의성어와 의태어다. 단순한 뜻이 있어 외우기보다는 느낌을 잘 이해해야만 어색하지 않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무라에리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