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미나 대표 |
경제 분야도 코로나19로 인해 엄청난 불확실성을 겪고 있다. 미국이 무제한 양적 완화를 발표했으며 우리나라도 하위 70%까지의 재난기본소득에 대한 논의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기준금리 0% 시대 한국경제는 가보지 않은 길을 가고 있다. 투자의 위축을 막고자 하는 저금리 정책은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 개인의 자산 가치를 떨어뜨린다. 은행예금의 증가 속도는 가속적으로 늦어진다. 금리가 5%일 때 원금이 2배가 되려면 14년이 걸린다. 1%로 떨어질 경우에는 72년이라는 시간이 걸린다. 만약 내가 지금 1000만원을 1% 금리에 은행에 저축할 경우 72년이 지나야 2000만원이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 현재 시행하고 있는 이자과세인 15.4%를 제외하고 2000만원이 되려면 79년이 걸린다. 초저금리가 자산 증식을 막는 원리인 것이다.
경제학자들은 1% 이하의 초저금리에 빠지면 마치 블랙홀에서 시간이 멈추는 것처럼 자산증식이 거의 멈추어버린다고 말한다. 복리의 마법이 통하지 않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초저금리 시대에 많은 이들의 자산이 주식으로 몰리고 있다. 혹자는 주식투자는 위험하다고 단정하고 심지어는 도박과 같은 것으로 여겨 주식투자는 가능한 피해야 하는 대상으로 취급하는데, 이는 아마 주식의 가격이 매일매일 변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변동성과 위험에 대해 혼동을 하는 우를 범하는 것이다. 비록 주가는 매시간 가격이 변하고 예측할 수 없지만 좋은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주식투자는 경제독립, 노후준비에도 좋은 방법이다. 특히 이번 코로나19로 인해 코스피가 1740까지 떨어지면서 3월 한 달 만에 100만개의 신규 주식 계좌가 증가했다고 한다. 시장의 변화에 개인은 발 빠르게 반응하고 있다. 초저금리 시대에 주식에 대한 개인들의 관심과 투자는 경제를 건강하게 만든다.
그러나 몇 가지 염려되는 것이 있다. 주식투자 시 개인이 절대 하지 말아야 하는 것이 있다. 바로 빚을 내서 투자하는 것이다. 주식시장을 단기적으로 예측하기란 불가능하다. 한 번 두 번은 운이 좋아서 좋은 수익률을 낼 수는 있지만 어느 누구도 연속적으로 단기에 높은 수익을 낼 수는 없다. 우리에게 천재 과학자로 알려진 아이작 뉴턴도 주식에 투자하여 초기에는 100%의 수익도 올렸으나 매각하고도 다시 가격이 오르니 또 참지 못하고 다시 매수하였으나 결국은 버블이 터져 엄청난 손해를 입었다. 그 당시 뉴턴이 "천체의 움직임은 센티미터의 단위로 까지 측정을 할 수가 있는데 주식시장에서의 인간들의 광기는 도저히 예상할 수가 없다"는 말은 많은 투자자에게 명언으로 남았다.
검증되지 않은 정보가 넘쳐나는 유뷰버들의 추천하는 종목들에 성급하게 따라 하기식 투자를 해서는 안 된다. 추천하는 기업은 재무제표나, 시가총액, 관련 뉴스 등을 꼼꼼히 살펴보아야 한다. 지인의 추천으로, 어제 상한가를 쳤다는 말 한마디에 해당 기업의 홈페이지 한번 들어가 보지 않고 해당 기업의 주력 상품이 무엇인지도 잘 모르고 하는 투자가 실제로 종종 벌어지고 있다. 주식투자는 간단하게 말하면 그 기업의 동업자가 되는 것이다. 일정 기간 투자하면서 내가 투자한 기업이 성장하기를 기다리는 과정이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올바른 정보를 찾아내기 위해서는 경제에 관한 공부가 선행되어야 한다. 살아 있는 동안 빼앗기지 않는 것은 지식뿐이라고 한다. 돈에 관한 지식을 키우자. 우리는 돈 이야기를 하면 왠지 격이 떨어진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이것은 자본주의 사회에 살면서 자본주의를 외면하라고 가르치는 꼴이다. 우리는 좀 더 솔직해질 필요가 있다. 자산을 늘리는 경제 교육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불확실성 시대에서 시장을 예측하려 하지 말자. 시장의 변화에 복지부동해서도 안 된다. 우리는 배우고 익혀서 시장의 변화에 반응하고 적응해야 한다.
송미나 대전중앙청과(주) 대표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