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거리두기를 위해 띄어 앉기 26일 오전 광주 북구청 민원실 대기 의자에 코로나19 사회적 거리 두기를 위해 띄어 앉기를 유도하는 안내문과 인형이 놓여있다. 북구는 사회적 거리 두기 실천으로 코로나19 확산세를 막자는 의미로 '4월 6일에는 학교 가게 해주세요'라고 적은 문구를 어린이 인형과 함께 의자에 놓았다. 연합 |
'코로나19 확진자가 또 생겼구나, 어느 동네 사람이지? 동선은 어떻게 되지?' 온 신경을 곤두세우게 된다. 내 주변이라면 그 사람이 걱정이 되고 어쩌면 내가 전염되었을 수 있고 그렇다면 혹시 모르는 사이에 다른 사람에게 전염 시켰을 수도 있으니까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
전 세계 35개국에서 약 10억 명 이상이 격리 상태에 있다고 한다. 주변을 둘러보면 현재의 이 고통을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확진자와 확진자 가족, 의료진, 관계 공무원들은 물론이거니와 공연문화예술가들, 소상공인, 학원가, 증권가를 비롯하여 대부분이 코로나19의 영향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 생계를 걱정하는 사람들도 많다. 많은 사람들이 서로 연결되어 사회적 고리로 살아가기 때문에 한쪽이 무너지면 다른 쪽도 무너지고 한쪽이 끊어지면 다른 쪽도 끊기는 이유다. 그래서 내가 어려우면 주변도 어렵고 주변이 어려우면 나도 어렵다는 것, 한꺼번에 여럿이 다 어렵다는 말이다.
감염증을 막기 위해서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물리적인 거리 두기가 가장 필요하다. 요즘 제일 많이 하는 말 중 하나가 '사회적 거리두기'다. 사회적 거리두기는 코로나19 감염병 확산을 막거나 줄이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으로 정부에서도 강력한 조치를 취하고 있고 많은 국민들이 따르고 있다. 어처구니없게도 가끔 이를 따르지 않는 사람들로 인하여 감염병이 확산되기도 한다. 자신만 생각하는 이기적인 마음, 이런 것쯤 괜찮아, 하는 무대포적인 행동에서다. 한 사람의 확진자라도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해 모두가 뜻을 모아야 할 때다.
사회적 거리두기와 더불어 심리적 거리 두기도 필요하다. 방콕, 집콕 이라는 말이 유행하듯이 모든 상황이 가족, 집안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같은 공간에서 오랜 시간을 함께하다보면 물리적 거리뿐만 아니라 심리적 거리에도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 가까운 곳에서 문제가 더 발생한다는 뜻이다.
요즘 전화 상담을 많이 한다. 심한 상담 일부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상담 내용이 코로나 19로 집에만 있다 보니 가족 간에 불화가 자주 일어난다는 것. '코로나 블루'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우울감과 무력감을 나타내는 사람이 많다. 어느 부부는 둘 다 재택근무를 하면서 마음이 맞지 않아 힘들고, 40대 초반의 어머니는 코로나19 방학으로 종일 밥 차리다 끝나는 것 같다고, 일하랴 아이들 돌보랴 숨통이 막힌다는 하소연, 맞벌이하는 아들 내외를 위해 손자 들을 봐주느라 상경하신 할머니는 귀여운 손자들과의 갈등이 일어나고, 노인정이나 복지관에 못가는 어르신은 며느리와 부딪히고, 같은 공간 안에서 오랜 시간을 함께 있으니 사소한 일로 너그럽지 못하고 서로 간섭하고 화내고 짜증내며 싸우게 된다는 것, 남에게 양보와 배려는 사회적 예의상 참으면 되는데 가족이라는 친근함으로 하고 싶은 대로 하는 것이 이유이기도 하고 남은 잠깐 만나고 집에 가면 되지만 집은 잠깐 있다가 나가는 공간이 아니기 때문에 문제가 누적되는 것이다.
코로나 19 감염증은 한두 달 안에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것쯤은 비전문가들도 안다. 적어도 올 여름, 길게는 연말까지 갈 전쟁 같은 싸움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암울한 전망이다. 언젠가는 끝이 나겠지만 경제적 후유증과 사회적 악영향이 감당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다. 그럴 때 일수록 가까운 곳에서부터 다독이고 긍정적인 마음으로 서로에게 힘을 주었으면 한다. 가장 기본적인 이야기지만 특히 가까운 사이부터 배려하는 마음 필요하다.
김종진 여락인성심리연구소 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