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과 미술관, 공연 단체들이 온라인 콘텐츠를 선보여 문화 갈증을 해소해주고 있는 만큼, 문화예술 온라인 사업이 확대될 경, 문화 영역이 가지는 장소의 고유성을 탈피하는 새로운 콘텐츠가 등장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모이고 있다.
또 수동적이던 예술가들의 활동 영역이 다방면으로 확장될 수 있고, 코로나19 사태처럼 문화 셧다운 현상이 재발한다 해도 꾸준히 활동을 이어갈 수 있는 영역 구축이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26일 '코로나19 극복, 어디서든 문화예술교육'사업을 추진하고 200건을 선정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어디서든 문화예술교육'은 온라인으로 즐길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내용과 방식에 대한 창의적인 생각과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우수 기획안은 온라인 콘텐츠로 제작해 언제, 어디서든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 골자다.
예술가,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단체 기획자·활동가 등 문화예술교육 관계자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지역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문화예술가들도 온라인과 관련한 활동의 반환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그동안 예술 분야는 관람객들이 공연장과 미술관, 박물관으로 찾아오는 수동적 태도에 갇혀 있었다면, 앞으로는 예술가들이 관람객에게 직접 다가가는 능동적인 시스템으로 변화해야만 경쟁력이 있다는 이유에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26일 '세계문화관 이집트실' 기획전시를 녹화 중계해 5만 명에 가까운 관객들이 감상하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셧다운으로 문화적 다양성을 찾는 관람객들에게는 온라인 맞춤형 콘텐츠로 요구를 충족한 예라고 할 수 있다.
음악치유가로 활동하는 이장민 작가는 "안 그래도 음악 치유와 관련해 유튜브를 개설해야 하나 고민은 하고 있었다. 음악을 콘텐츠로 다양한 세대에게 예술과 교육을 동시에 선보일 기회가 되지 않을까"라며 긍정적으로 바라봤다.
지역 문화계 관계자는 "영역에 치우치지 않고 단순히 공연과 작품을 보여주기식이 아닌 교육용이 된다면 다양한 콘텐츠를 만들기에 문화만큼 적합한 장르는 없다"며 "연극도, 음악도, 글쓰기도 온라인으로 충분한 교육이 가능하다"고 했다.
다만, "현장성을 느껴야 하는 공연과 전시 관람은 오프라인 영역이 지속하도록 경계에 대한 고민도 해야 한다"며 "코로나19로 인해 문화를 보여주는 방식들 변화하고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