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상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UST 교수 |
'전문가'는 '특정 분야의 일을 줄곧 해 와서 그에 관해 풍부하고 깊이 있는 지식이나 경험을 갖고 있는 사람'으로 사전에서 설명된다. 4차산업혁명시대 전문가는 어떤 사람일까? 인공지능(AI)에도 대체되지 않은 높은 수준의 전문지식을 가진 사람으로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도래하는 4차산업혁명시대에는 오늘의 많은 전문가가 AI에 대체돼 자리를 잃게 될 것이다. 100세 수명시대 AI에 대체 불가능한 전문지식이 없으면 일생에 직업을 여러 번 바꿔야 할지 모른다. 직업에는 귀천이 없으며 다른 사람의 눈치를 보지 말고 당당하게 본인이 하고 싶은 일을 할 필요가 있다. 한 가지 일에 최고가 되기 위해 노력하면 전문가가 될 수 있고 부자도 될 수 있다.
필자는 출연연에서 30년 근무하면서 지금처럼 좋은 여건에서 책무를 다하지 못하면서 연구 환경을 탓하는 분위기에 많아 아쉬움을 느낀다. 오늘을 사는 과학자는 돈도 얼굴도 있고 필요한 연구비와 시설도 충분하다. 문제는 마땅히 해야 할 일을 다 하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물론 많은 과학자는 연구철학을 가지고 묵묵히 열심히 하고 있다. 우리사회가 처한 현실을 고려할 때 과학자로서 방향성을 가지고 기관의 역할과 책임에 맞는 연구를 더 잘해야 한다는 뜻을 강조하고 싶다. 우리의 과학기술은 큰 발전을 이뤘지만 아직도 같은 문화권에 있는 일본·중국에 비하면 축적기술이나 일관성 있는 연구정책은 배울 필요가 있다.
대전 현충원에는 다양한 분야 존경할 만한 분들이 안장돼 있다. 과학자로서는 우리나라 과학재상의 소임을 다한 최형섭 박사(1920~2004), 우리별1호의 주인공 최순달 박사(1931~2014), 원자력의 대부 한필순 박사(1933~2015)가 이곳에 잠들었다. 최형섭 박사 묘비에 새겨져 있는 연구자의 덕목(5가지)은 후학들이 가슴에 새겨 실천할 필요가 있다. 학문에 거짓이 없어야 한다. 부귀영화에 집착해서는 안 된다. 시간에 초연한 생활연구인이 돼야 한다. 직위(보직)에 연연하지 말고 직책(연구자)에 충실해야 한다. 아는 것을 자랑하는 것이 아니라 모르는 것을 반성해야 한다.
전쟁무기도 무역도 과학기술 기반이기에 현재는 과학기술중심 세계가 됐다. 세계는 무한의 과학경쟁시대다. 과학자든 일반인이든 무한경쟁시대에 살아남는 방법은 남들과 차별화된 생각을 가지고 당당하게 다른 사람에 의해 대체될 수 없는 전문가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것이다. 과학자가 연구철학을 가지고 소신껏 일하고 행복한 사회의 중심이 되길 소망한다. 최근 코로나19 사태에서 전문가 집단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정치와 진영논리가 아니라 해당 분야 전문가에 의한 객관적 사실을 토대로 한 정책이 수립되길 간절히 바란다. 과학자들은 국민과 정부는 과학자 집단의 결정을 존중받을 수 있도록 연구철학을 가지고 소임을 다해야 할 것이다. 2023년이면 대덕연구단지 출범 50주년이 된다. 출연연구소의 설립목적과 미션에 맞게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해 노력해 대덕연구단지의 제2의 르네상스를 맞이하길 소망한다. 곽상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UST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