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혁 작곡가 |
1802년 10월 6일 빈 근교 하일리겐슈타트(Heiligenstadt)의 한 휴양지. 한 젊은 음악가가 이제 막 한 장의 유서를 쓰고 생각에 잠겼다. 음악가에게 있어서 안 들린다는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사형선고와 같다. 유서를 쓴 음악가는 어려서부터 음악을 배웠고 청소년기를 지나 청년이 되었을 때는 대가로 인정받는 전도유망한 작곡가가 됐다.
그런데 스물여섯 살 귓병이 발병했다. 그 후 6년의 세월이 지나 서른두 살에 이르러 귓병은 절망적인 수준에 이르렀다. 그는 휴양하고자 하일리겐슈타트로 향했다. 그러나 삶을 비관한 그는 자살을 결심했다. 그리고 이른바 '하일리겐슈타트 유서'를 쓰게 된다. 그는 다행히 자살을 실행하지 않았다. 그것을 막을 수 있었던 것은 음악이었다. 그는 동생들에게 쓴 유서에서 이렇게 말한다.
"내가 지탱할 수 있었던 것은 음악 때문이었다. 내 안에 있는 것을 모두 작곡하기 전에 세상을 떠난다는 것은 불가능할 것 같다" 이런 이유로 그는 이 가혹한 운명과 당당히 대면하고 극복하기로 결심한다.
1808년 12월 22일 빈 안 데어 빈 극장(Theater an der Wien)의 연주회. 교향곡 5번이 연주되자 연주회 장은 엄청난 충격에 빠진다. 그 충격은 놀라움만이 아닌 감격이었다. 처음엔 충격으로 시작했으나 마지막엔 승리의 희망이었기 때문이었다.
교향곡은 'c 단조'로 4개의 악장으로 구성된다. 우리에게 알려진 것은 1악장 도입부의 네 음이다. "따따따 단" 이 네 음으로 시작되는 교향곡은 음악사의 큰 획을 긋게 된다. 이 교향곡은 세 가지 이름을 갖고 있다. 첫째 '교향곡 5번 C단조' op.67이다. 이는 작곡가의 '다섯 번째 교향곡'이라는 뜻으로 이 교향곡의 정식 명칭이다. 두 번째 '황제'다. 이 곡을 들은 한 군인 이 '이것은 황제다'고 외친데서 붙여졌다. 세 번째. 이를 알기 위해서 그의 제자 '쉰들러'가 전하는 일화를 알아야한다. 작곡가는 이 교향곡의 첫 도입부를 일컬어 "So pocht das Schicksal an die Pforte(운명은 이렇게 문을 두드린다)"고 했다고 한다. 여기서 유래하여 '운명(Schicksal)'이라 부른다. 그렇다 '운명' 교향곡이다. 음악사의 한 획을 그었고 클래식 음악의 대명사가 된 '운명' 교향곡이 세상에 나온 순간이다. 이 교향곡을 작곡한 사람은 루드비히 반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이다.
1801년 그는 귓병과 투병하면서 친구 베겔러(Wegeler)에게 "나는 운명의 목덜미를 잡겠다. 운명에게 결코 지지 않겠다"고 편지한다. 그러나 1802년 귓병 악화로 자살까지 결심했지만 베토벤은 그의 말대로 운명과 당당히 싸워 극복했다. 그리고 음악사의 금자탑 교향곡 5번 '운명'을 작곡했다. 귀가 잘 들리지 않는 상황에서 이 교향곡을 작곡한 것이다.
'운명' 그것은 극복할 때 강한 희망이 된다. 지금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가 코로나 19로 인해 어려움에 처해있다. 그러나 우리는 이 위기를 이겨 낼 수 있다. 서로 배려하고 이해하고 예방하고 치료할 때 충분히 가능하다. 베토벤은 음악가로서 사형선고 같은 귓병을 앓고 청력을 잃어 갔지만 그는 이를 극복하고 교향곡 5번 '운명'을 작곡했다. 베토벤처럼 우리도 코로나 19를 극복할 수 있다. '운명 교향곡'의 메시지를 들어보자. 운명의 동기 '따따따 단'으로 시작하는 1악장에서 출발하여 4악장에서 장대한 승리와 희망을 외치고 있다. 승리와 희망의 음악 '운명 교향곡'과 함께 코로나 19를 극복해보자. 베토벤처럼 불굴의 의지로…
안성혁 작곡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