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개를 좋아하면서 개고기를 먹었다. 예전 시골에선 다 그러했다. 개는 애완용이면서 가축의 개념이었다. 몇 년 키워 성견이 되면 팔고 강아지를 또 키우는 식이었다. 돼지나 소처럼 일종의 살림 밑천인 셈이다. 우리 집에서 키우는 개도 종국엔 팔려 나가 보신탕 신세였지만 같이 사는 동안은 가족이나 다름없었다. 산에 들에 어디를 가든 늘 함께 놀았다. 학교에서 돌아와 집에 들어서면 '쪼니'부터 불렀다. 우리 집 개 이름은 다 '쪼니'였다. 먹을 것도 나눠 먹었다. 과자든 떡이든 우리가 먹는 것은 쪼니도 먹어야 했다. 식구라고 생각했으니까. 새끼를 낳으면 집안의 경사였다. 우리는 눈도 안 뜬 강아지들을 들여다보며 시간가는 줄 몰랐다. 젖내 풍기는 강아지의 보드라운 발바닥을 쓰다듬고 여린 새싹 같은 귀는 또 어찌나 예쁜지, 하루종일 보고 있어도 지루하지 않았다. 그리고 땡볕이 내리쬐는 복날이면 장에서 사온 개고기로 엄마가 끓인 얼큰한 개장국을 먹었다.
그렇게 가족이 됐다가 팔려나가는 우리집 쪼니들의 역사는 장구했다. 그 중 오랫동안 내 기억에서 잊혀지지 않은 쪼니가 있었다. 초등학교 저학년 때 키우던 개로 검은 색의 털이 약간 긴 순둥이였다. 당시 두 마리가 있었는데 나머지 한 마리는 영특하고 날렵한 네눈박이였다. 나는 그 개를 더 이뻐했다. 어느날 밭에 가면서 뭣 때문인지는 모르겠으나 순둥이를 손으로 살짝 때렸다. 순둥이가 고개를 돌려 원망어린 눈빛으로 날 쳐다보았다. 동물의 눈이었지만 감정을 읽을 수 있었다. 순둥이는 내가 네눈박이를 더 좋아하는 걸 알고 있는지 내 눈치를 보곤 했다. 시간이 흘러 중학교 때였나, 강열한 꿈을 꿨다. 순둥이 쪼니가 엄동설한에 어느 텅 빈 교실의 차가운 책상 위에서 새끼들을 품고 있었다. 새끼를 낳은 순둥이는 뼈만 앙상했다. 새끼들도 배가 고파 어미 품을 파고들며 울었다. 꿈에서 깬 나는 슬프고 무서워서 몸서리쳤다. 순둥이는 내 무의식 속에서 죄책감의 대상이 된 것이다.
다시 전염병이 창궐하고 있다. 인류를 강력하게 위협하는 전염병은 동물을 매개로 한다. 코로나19도 박쥐에서 출발했다. 물론 코로나19도 언젠가는 끝날 것이다. 허나 갈수록 전염병의 주기가 빨라지고 있다. 불과 5년 전 우리는 메르스로 공포에 떨지 않았나. 눈에 보이지 않는 바이러스 앞에서 인간은 허약하고 어리석고 보잘 것 없는 존재였다. 어찌보면 전염병은 인간에 대한 동물의 보복이다. 인간의 탐욕을 위한 가축의 증가와 생태계 파괴. 그리고 잔인한 도살방식. 나는 이젠 개고기를 안 먹는다. 개를 좋아하면서 개고기를 먹는 나 자신이 혐오스러웠기 때문이다. 공원에서 뛰노는 개들이 예뻐 눈을 떼지 못하면서 보신탕을 먹는 내가 얼마나 위선적인가. 고통스럽게 죽어간 나의 '쪼니들'과 동물들에게 용서를 빈다.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