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일순 체육학 박사·체육인 |
최근 신체활동의 가장 기본요소인 움직임이 줄고 자동화된 직장환경과 스마트폰, PC 게임 등으로 움직이지 않는 시간이 늘면서 비만과 당뇨병 등의 환자들이 발생하고 있다.
WHO(세계보건기구)에서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건강 위험요인 중 3위에 랭크된 '암'에 이은 4위는 '운동 부족'이다. 운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운동은 선택이 아닌 필수의 시대가 왔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전국의 권역별, 지역별 '국민체력 100' 사업을 통해 체력인증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이 사업은 '100세까지 건강하게!'라는 슬로건 아래 국민의 체력과 건강증진에 목적을 두고 있고, 운동을 시작하기 전 나의 체력 수준 파악과 과학적인 측정 평가를 통해 무상으로 운동 상담과 처방을 해주는 대국민 체육 복지 서비스다. 단순히 국민의 체력·체격에 대한 정보제공뿐만 아니라 체육활동 동기부여, 참여권장 등 국민의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다.
하지만 선진국과 비교해 한국의 생활체육에 대한 인프라와 인식, 문화적 자산이 부족한 건 분명하다. 필자는 일본과 영국을 견학하며 살펴본 결과, 일본은 15~20년 전부터 영재 발굴과 인재육성을 위한 부족한 부분을 위한 다양한 전문교육 프로그램을 위탁 운영하며 건강한 생활체육 활성화와 스포츠 분야에 큰 발전을 이룰 수 있게 됐다.
영국은 생활체육의 중심이 스포츠클럽 활성화다. 스포츠클럽은 단순히 모르는 사람들이 모여 운동을 하는 곳을 넘어 지역의 통합과 화합을 이끄는 중요한 장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생활체육 프로그램은 거미줄처럼 서로 연결돼 나이와 거주지, 시간대, 기능수준, 종목, 성별에 따라 제공되고 개인의 여건에 맞게 다양한 스포츠를 선택할 수 있다는 강점이 있다.
우리나라도 생활체육의 도약을 위해 지역사회와 정부에서 힘을 모으고 있고, 생활체육의 미래는 무궁무진한 가능성과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 있다. 생활체육 활성화에서 가장 중요한 건 정책의 올바른 방향성과 지자체의 자발적인 정책 실행이며, 이를 위해 스포츠 기본법과 제도의 정비, 충분한 예산과 인력이 함께 필요하다.
최근 통합체육회가 출범하고 두 단체의 통합으로 혼란을 겪고 안정화 되는 시점에서 여러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그동안 정치인인 자치단체장이 체육회장을 맡으면서 체육의 독립성과 자율성이 침해받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민선 체육회장을 뽑아 정치와 체육을 분리하려고 했다.
하지만 막상 선거로 민선 체육회장을 뽑고 보니 심각한 정치화 현상이 일어나고, 단체를 이끌기 위해 필요한 전문적 식견과 실무적 감각, 발전의 청사진 등이 부족하다 보니 정치적 색깔을 선거 공략을 내세울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제 우리나라도 스포츠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할 때가 아닌가 생각한다. 지도자, 전무이사(사무국장), 시·도 체육회, 구 체육회, 회장단 등 모두가 소통이라는 단어에 서로가 한뜻으로 뭉쳐야만 할 때라고 본다.
필자는 온 가족이 함께할 수 있는 세대공감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영재교육과 학교체육, 생활체육, 전문체육 등의 화합을 추진해 함께 소통할 수 있는 기초의 틀을 준비해왔다. 완벽한 소통이 이뤄질 때, 건강한 스포츠의 정신을 일깨울 수 있는 그 시발점이 될 수가 있다고 본다.
더 나아가 대전과 충청이 아시안게임 유치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현재 대전과 세종, 충남·북 등 시·도에서 갖춘 시설 등을 충분히 활용한다면 아시안게임을 유치하고 성공적으로 치를 수 있다고 본다. 그렇게만 된다면 대전과 충청의 스포츠 발전뿐 아니라 더 나아가 경제의 한 틀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박일순 체육학 박사·체육인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