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조조래빗(Jojo Rabbit)'은 10살짜리 꼬마 남자아이 조조의 눈으로 '나치'를 담아냈다. 조조는 전투 연습을 위해 주말 소년단 캠프에 입단했다. 그곳에선 날카로운 칼을 쥐여주고 폭탄을 안겨줬다. 어느 날엔 생명에 대한 경외심을 억제 시키기 위해 살아있는 토끼의 목을 비틀어 죽이라는 명령을 내리기도 했다. 마음이 약한 조조가 토끼를 죽이지 못한 채 자리를 뜨자 동료들은 '조조래빗! 조조래빗!'이라 소리치며 조롱을 일삼았다.
조조는 마음속 깊은 곳에서 무언가 잘못되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 결국 캠프훈련 중 몸에 상처를 입고 나오게 됐지만 히틀러를 숭배하는 충성스러운 부하가 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유대인에 대한 허무맹랑한 루머를 머리에 새기고 마음으론 멸시하면서 말이다. 어린아이의 순수함과 무지를 노린 사회의 전략이 통해버린 것일까.
어긋난 교육과 사상, 세뇌는 나치즘의 뿌리를 더 강하게 만들었다. 사전적 정의를 살펴보면 '교육(敎育)'이란 지식과 기술을 가르치며 인격을 기르는 것, '사상(思想)'은 어떠한 사물에 대해 가지고 있는 구체적인 사고나 생각, '세뇌(洗腦)'란 사람의 의식을 다른 방향으로 바꾸게 하거나 뇌리에 주입하는 일을 말한다.
교육의 참된 목표는 주체적인 사상을 가질 수 있는 인격체로 육성하는 데에 있으며, 세뇌(주입)는 단순한 능력 향상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써 부차적으로 따라올 뿐이다.
교육의 방향이 '나'의 생각을 통제할 때, 부당함에 맞서지 못하게 만들 때 그리고 나의 의견이 묵살당하고 말았을 때 우리는 돌이켜 봐야만 한다. 과연 이를 따라야만 하는지 말이다.
내가 주체가 된 선택은 맞아도 틀려도 가치가 있다. 결과에 대한 책임을 온전히 짊어지는 '성인'이며 그 과정에서 우리는 성숙하기 때문이다. 무조건적인 순응 뒤에 오는 후회는 자신에 대한 원망으로 남을 뿐이다. 그리고 그 마지막이 참혹할수록 '내 탓이오'라는 외침만이 가슴을 울린다. 그 후엔 삶의 지침서라도 잃은 듯 갈 길을 잃어버릴지도.
찬바람이 따갑게 얼굴을 스치는 겨울날. 그 길가엔 여전히 청년들이 우두커니 서 있다. 언뜻 눈이 마주쳤다 싶은 찰나 다가와 말을 건다. 그들은 길을 묻거나 설문조사를 나왔다며 핸드폰을 내민다. 짧은 순간 '역시…'라는 생각이 머릿속을 스친다. 잠시 혼란스럽다. 내 또래의 젊은 친구들이 어떤 연유로 그 자리를 맴돌 수밖에 없는지… 시선은 짧게 머물렀고 손과 고개를 저어 거부 의사를 전한다. 낯선 사람에게 대화를 시도하는 청년의 열정에도 불구하고 내 입은 굳게 닫혀있을 수 밖에.
'진실을 가장한 거짓에 선동되지 말자. 눈 크게 똑바로 뜨고 세상을 보자.'
김시내 편집2국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