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소개 하였듯이, 미취학 아동 학습놀이 프로그램을 만든 적이 있다. 우뇌개발 프로그램 중에 직관상 및 초감각적지각(ESP, Extrasensory perception) 훈련 프로그램도 있다. 직관상은 체험과 관계없이 보고 있지 않지만 직접 눈으로 보는 것처럼 선명하게 이미지가 떠오르는 것을 말한다. ESP는 감각기관을 통하지 않고, 그를 초월한 능력으로 사물을 보고 어떤 결과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예지, 직관, 투시, 염력, 텔레파시 등 초능력을 말한다.
이를 테면, 네 개의 카드를 엎어 놓고 제시된 카드와 동일한 그림 카드를 고른다. 밀폐된 용기에 리본을 넣고, 어느 용기에 리본이 들어있는 지 알아맞히는 식이다. 야바위꾼이 많이 하던 놀이다. 야바위는 속임수지만 말이다. 위에 한 장의 카드를 보이도록 해 놓고, 아래에 4장의 카드를 엎어 놓은 그림으로 화면을 구성한다. 4개의 카드에는 각기 다른 그림을 배정한다. 아래에 있는 카드 중 위의 카드와 동일하다 생각하는 하나를 마우스로 선택하게 한다. 정답 유무에 따라 재미있는 동영상을 보여준다. 하나는 계란 4개를 배열해 놓고 어느 알에서 병아리가 나올까 알아맞히는 놀이다. 맞히면 병아리가 '삐약'거리며 걸어 나온다. 다양한 소재와 방식으로 인지 능력을 함께 키운다.
해당 디자인이나 프로그램 만드는 일은 어렵지 않다. 문제는, 어느 경우든 발생되는 수를 제작자나 사용자가 몰라야 하고, 순서가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컴퓨터에서 임의의 숫자를 얻기 위해 난수를 발생시킨다. 'C'언어 함수 random(4)을 사용하면 되니 그것도 어렵지 않다. 컴퓨터가 네 개의 숫자 중 임의의 숫자를 지속적으로 생성한다. 계속 난수를 발생 시키니, 변화무쌍하여 재미있게 놀이를 할 수 있다.
엉뚱하게 문제가 발생했다. 어느 날 한 아이가 하는 족족 다 맞추는 것이 아닌가? 실제로 놀라운 능력을 보여주는 아이도 있어 그냥 넘길 뻔 했다. 같은 사례가 여러 번 반복되어 치밀한 검토에 들어갔다. 컴퓨터를 껐다 다시 켜거나, 컴퓨터가 초기화(reset)되면 난수 발생순서가 동일한 것이 아닌가. 아이가 나오는 순서를 암기해 버린 것이다. 중대한 프로그램 버그(bug, 결함)가 아닐 수 없다. 어느 경우에도 시작과 순서가 달라지게 하는 로직(logic, 논리)이 필요했다.
요즈음 여론조사는 대부분 자동응답 장치를 사용한다. 직접면접 방식은 대체로 비용 때문에 기피한다. 자동응답전화 DB에 우리국민이 사용하는 전화번호 전체가 들어있다고 가정하자. 컴퓨터 난수에 의해 임의의 전화로 전화를 건다. 막연히 완벽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예처럼, 프로그램을 새로 가동 하면 난수 발생순서가 동일하다. DB가 다르거나 변화를 주지 않는 한, 매번 같은 사람에게 전화가 가게 된다. 동일한 사람에게 동일한 순서로 전화가 걸리는 것이다. 수신자 기분이나 상황에 따라 받던 사람이 받지 않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반대의 경우도 예상할 수 있다. 수신자만큼 전화 거는 숫자에만 변화가 있을 뿐이다. 수신 여부만 변수가 된다. 컴퓨터가 켜진 상태에서 여론조사 프로그램을 연속 가동하지 않는다고 볼 때, 동일한 회사에서 매번 하는 조사는 그럴 개연성이 크다.
버그를 잡았으리라 생각하지만, 위와 같은 프로그램 개발자는 많지 않다. 항상 다른 사람에게 골고루 전화가 가고 있다고 막연히 믿고 있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른 버그도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 엄청난 핫 이슈가 많았음에도, 1년여 동안 10% 내외 변화만 지속되고 있는 여론조사 결과를 보며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선거기간 여론조사 결과 발표를 금하고 있어,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알 수 없다. 총선과 총선 무렵 대통령 지지율 관계를 살펴보자. 2004년 17대 총선부터, 2016년 총선까지 대통령 지지율과 총선 성적표가 대부분 다르다. 2004년 17대 총선 당시 노무현 대통령 지지율은 10%대 초반이었으나 여당이었던 열린우리당이 152석을 얻었다. 2008년 18대 총선, 이명박 전 대통령 지지율이 50%대 초반이고 한나라당이 153석을 차지, 대통령 지지율과 총선 결과가 비슷하게 나타난 유일한 선거이다. 2012년 19대 총선 시 이명박 대통령 지지율은 20%대였으나 새누리당이 152석을 차지했다. 2016년 20대 총선에서는 박근혜 전 대통령 지지율이 40%대로 안정되게 유지되었으나 123석을 얻은 민주당이 1당을 차지했다. 애당초 대통령지지율과 총선은 서로 무관할 수 있다.
하지만 말이다. 세상에 믿을 게 없다는 것이 얼마나 슬픈 일인가? 대체적으로 여론 조사를 믿지 않음을 보게 된다. 의문을 제기하는 언론 보도도 많았다. 조사 방법에 대해 의문을 갖기도 한다. 실제로 의도된 설문과 조사방식도 있었다. 우리나라만 조사결과와 투표결과가 다른 것이 아니다. 시대와 의식의 빠른 변화를 조사 방식, 방법이 따라가고 있지 못하는 것은 아닐까?
여론조사 시스템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해본다. 여론조사가 혹여 여론 조작에 일조하고 있다면 큰 문제 아닌가? 괴리가 커지면 안팎으로 걷잡을 수 없게 됨을 명심해야 한다. 4.15 총선에서 여론조사대비 어떤 결과가 나올까?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양동길 / 시인, 수필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