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주 충남대 교수 |
"그/녀"의 입학을 반대한 사람들이 제시한 이유는 이렇다. 첫째 여대는 "생물학적 여성"만이 입학할 수 있고, 두 번째 생물학적 남성이 여대에 입학하는 것은 "여자들의 공간을 침범하고 기회를 빼앗는" 행위이기 때문에 용납될 수 없다는 것이다. 개인의 결정인 성전환 수술이나 법적인 인정 따위는 다 소용없고, 태어나는 순간 부모와 사회가 결정했던 '생물학적 남성'이란 운명에 잠자코 순응하라는 뜻이다.
두 가지 이유의 저변에 깔려있는 논리적 전제는 인간의 성은 오로지 두 개--생물학적 남성과 생물학적 여성만 있고, 중간은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생물학적 성에 따라 가해자 남성/피해자 여성의 이분법적 대립을 기정사실화하는 것이다. 인간의 생물학적 성은 과연 단 두 개뿐인가? 그렇지 않다. 생물학적 남성은 항상 가해자이고, 생물학적 여성은 항상 피해자일까? 늘 그렇지는 않다.
트랜스젠더 A씨는 생물학적으로 분명 '간성'(intersex)이었을 것이다. 호주, 독일, 네팥, 뉴질랜드는 생물학적인 남성과 여성 이외, '간성'의 존재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는 동성애/이성애와 같은 성적 지향에 따른 후천적 결정일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과학적 성과를 대중화하는 저널인 CNRS(https://news.cnrs.fr)의 통계를 따르면, 남성과 여성의 성적 특성을 동시에 갖고 태어나는 간성이 전세계 인구의 1%~2%라고 한다. 그렇다면 간성의 수는 전세계적으로 수백만명에 이른다. 우리의 경우, 2017년 기준 인구가 오천만명이 넘으니까, 같은 비율이라면 간성의 수는 약 오십 만명에서 백 만명에 이른다. 대략 천안시 정도의 인구가 간성일 가능성이 있다.
간성의 숫자가 생각보다 많을 뿐만 아니라, 생물학적 여/남을 구분하는 방식도 생각보다 복잡하다. 흔히 여남의 구분은 생식세포의 수준에서 큰 생식세포(난자)를 생산하는 인간을 여성이라고 하고, 작은 생식세포(정자)를 생산하는 인간을 남성이라고 칭하지만, 생식세포의 수준으로만 분류하더라도, 미국 브라운 대학의 생물학자인 앤 파우스토-스털링(Anne Fausto-Sterling)에 따르면 성별은 대체로 다섯 종류이고, 충분히 그 이상도 가능하다고 말한다. 그런데 여남을 결정하는 변수는 단지 생식세포만이 아니다. 염색체 차이, 해부학적 차이, 호르몬 분비 차이에서 제각각 여남을 구분할 수 있다 하니, 네 가지 변수들이 복잡하게 뒤엉키면, 성별의 구분은 더욱 복잡해진다. 학자에 따라서는 90개 이상의 성별을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성별은 여/남 두개로 뚝 자르지 않고, 여남 두 개를 축으로 하는 연속선상에서 이해해야만 한다.
트랜스젠더 A씨는 굳이 범주화한다면 90여 가지 다양한 종류의 성 중 하나일 터인데, 어떻게 둘 중 하나인 "생물학적 남성"으로만 획일적으로 구분된단 말인가. 획일화의 폭력은 인생의 가장 처참하고 고단한 시기인 고3을 한 번 더 겪도록 만들고야 말았다.
또 한 가지 질문. 생물학적 남성은 가해자이고, 생물학적 여성은 늘 피해자인가? 5천년의 가부장제가 생물학적 남성에게 부여한 특권을 오용한 경우가 허다했으니, 대체로 그럴 가능성이 농후하긴 해도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문제는 가부장제이다. 생물학적 여성도 가부장제를 내면화했다면 언제든지 가해자가 될 수 있다. 페미니즘의 이름으로 그/녀를 반대한 사람들은 가부장제라는 목표점을 명확하게 재조준할 필요가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