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황우 한밭대 교수 |
플라스틱(Plastic)의 어원은 고대 그리스어인 '플라스티코스(plastikos)'에서 유래하였다. 즉, '주물이나 조형이 가능하다'는 뜻이 있는데 이는 원하는 모양으로 가공이 가능한 물질을 말한다. 최초의 플라스틱은 1855년 알렉산더 파크스(Alexander Parkes, 1813~1890)에 의해 발명됐다. 플라스틱은 석유에서 추출되는 원료를 결합해 만든 고분자 화합물로, 결합 또는 제조 방식에 따라 성질이 다른 몇백만 가지 종류로 분류된다. 플라스틱은 값이 저렴하고 가공이 자유로워서 우리의 일상용품에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모든 일에는 대가가 있듯, 우리가 사용하는 플라스틱은 일상에 편리함과 풍족함을 줬지만 플라스틱으로 인해 현재 인류와 지구의 생물 종은 생존의 위협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의 1인당 플라스틱 연간 사용량은 132.7㎏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이 소비하고 있으며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도 2017년 기준 연간 790만 톤으로, 5년간 30%가 증가했다.세계에서 년간 버려지는 플라스틱 폐기물의 양은 1300만 톤이며, 이 중 많은 양의 플라스틱들은 재활용 없이 바다로 흘러 바다 생물들에게 위협이 되고 있다. 유엔환경계획(UNEP)은 해양 플라스틱 폐기물의 독성물질이 인체에 유입돼 암 또는 불임을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플라스틱 폐기물이 잘게 쪼개어져 만들어진 미세플라스틱은 환경 문제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바람을 타고 100㎞ 이상 이동할 수도 있어 북극 눈 1ℓ에서 1만여 개의 미세 플라스틱이 검출됐고,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연구에 따르면 나노 단위로 쪼개진 미세플라스틱은 모든 기관에 흡수될 수 있고 혈액, 태반 장벽, DNA 세포까지 침투할 수 있다고 한다.
플라스틱 제품을 유연하게 하는 가소제(DEHP)는 세계자연기금(WWF)이 환경호르몬 67개 물질 중 하나로 분류했고 사람에게 암·생식기능 장애 등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모유를 먹는 우리나라 신생아의 8%가 환경호르몬의 일종인 DEHP(다이에틸헥실프탈레이트)를 하루 섭취제한량 이상 먹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우리가 생활에서 사용하는 컵라면, 종이컵에도 플라스틱이 사용되는데 액상의 식품을 담을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PE) 필름이 안쪽 면에 코팅돼 있다. PE는 PVC보다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알려진 물질로 미국 FDA는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가 식품용도로 적합하다는 판정을 내리기도 했다. LDPE는 독성으로부터 어느 정도 안전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미량의 환경호르몬 PFOA가 검출된 적 있다. PFOA는 인체 유해성에 관한 직접적인 연구 결과는 없지만 현재까지 동물실험과 직업적 노출로 인해 밝혀진 건강 영향은 뇌와 신경, 간에서 독성을 나타내고 생식기능과 면역력, 갑상선 호르몬에 영향을 준다고 한다.
환경호르몬은 전 세계적으로 생물 종에 위협이 될 수 있는 물질로 오존층 파괴, 지구 온난화와 함께 세계 3대 환경문제 중의 하나다. 환경호르몬(endocrine disrupters)은 '인체의 내분비 계통에 이상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물질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생식기능과 면역기능을 약화 또는 파괴하거나 기형 성장 장애 등을 가져오는 유해 화학물질로 후대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
우리는 플라스틱 시대에 살고 있다. 플라스틱시대에 살아남기 위해서는 생활습관과 소비를 바꿔야 한다. 일상생활에서 되도록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사용을 될 수 있는 대로 삼가하고 랩 등 일회용 식품 포장과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조리를 줄여야 한다. 또 간편하게 섭취하는 컵라면, 캔 음식 등 가공식품의 섭취빈도를 낮추어야 체내에 비스페놀A 증가를 막을 수 있다. 어린이나 청소년들에게 좋은 식품습관을 물려주는 것은 미래를 위해 부모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이다. /노황우 한밭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