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립미술관 전경 |
대전시와 대전시립미술관은 2020년 수장고 조성 예산에 115억원을 편성하고 현재 남은 행정절차를 밟아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행정과 건설 심의가 통과되고 입찰 공고가 확정되면 착공에 들어간다.
개방형 수장고는 대전시립미술관의 숙원이다. 1998년 개관 당시와 비교해 볼 때 소장품은 포화상태로 늘어났고 작품 규모까지 다양해져 수장고 확대는 불가피한 시점이다. 여기에 대전 유일 시립미술관의 기능을 끌어 올리기 위해서라도 개방형 수장고가 필요하다는 당위성까지 뒷받침되고 있다.
수년간 수장고 확대와 조성에 대한 계획은 있었으나, 실제로 첫 삽을 뜨는 과정으로 이어지진 못했다. 때문에 3월∼4월 미술관 수장고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면 대전 문화계는 큰 산을 하나 넘는 셈이다.
대전시와 시립미술관은 수장고 형태를 개방형으로 확정했다. 국내 최초의 개방형 수장고인 국립현대미술관 청주의 사례가 본보기가 됐다. 줄곧 밀실에 갇혀있던 소장품을 문화 향유 개념으로 열린 공간에서 관리한다는 취지다.
이는 기획전시를 떠나 우리 지역 미술관이 보유한 보고(寶庫)를 시민과 공유해 미술관의 역할, 문화적 자산에 대한 인식을 바꿀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감을 모으고 있다.
대전시립미술관 개방형 수장고 위치는 조각 공원 지하에서 미술관 정문으로 이어지는 지점이 될 확률이 높다. 지하형태로 들어가는 만큼 조성이 시작되더라도 속도를 낼 수 있을지는 사실상 단언할 수 없다는 게 대전시의 주장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100억 원 이상이 투입되는 대형사업으로 행정절차가 많아 사업이 다소 지연됐다"며 "3~4월 착공하면 2021년 9월쯤 설계 완료를 예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선승혜 대전시립미술관장은 지난 15일 기자간담회에서, "올해는 소장품 관리시스템 구축 사업을 통해 체계적인 데이터 확보에도 속도를 낼 것"이라고 강조해 향후 개방형 수장고와 연동될 수장고 관리의 기반을 조성하겠다는 의지를 표출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2017년 준공한 이응노 미술관은 비교적 최근에 지어진 수장고답게 관리나 체계가 잘 되고 있다는 평가다.
이응노 미술관 관계자는 "고암 수장고는 분류가 잘 돼 있고, 설립 당시부터 아카이브와 연동해뒀기 때문에 작품별 외부 전시 이력이나 현재 위치 등이 철저하게 관리되고 있다"며 "업계에서 잘 지어진 것으로 입소문이 나서 견학이나 리서치 요청이 잦은 편"이라고 말했다.
문화계 관계자는 "대전시립미술관의 개방형 수장고는 소장품 관리와 보관 측면에서도 필요하지만, 대전 방문의 해를 위한 문화적 인프라 기반을 위해서라도 속도를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