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월 4일 오후 2시 대전중구문화원 1전시실과 2전시실에서 문향(文香)만리를 포함한 대전 최고의 초대작가전이 개막하여, 8일까지 전시되었다. 충청예술협회(회장 리헌석)에서 주최하고, 초대작가회에서 주관한 제2회 충청예술 초대작가전이었던 것이다.
참여한 작가로는 충청예술 초대작가회장인 김정수 회장을 비롯하여, 인향만리의 대가 중산 조태수 회장, 대전의 대표 행위 예술가 류환, 강환춘, 고재윤, 김기반, 김기웅, 김대성, 김명동, 김명세, 김옥연, 김용근, 김월주, 김준섭, 김창수, 김창유, 김해선, 박해인, 배 광, 백경화, 성기순, 송근호, 송석찬, 신옥균, 유병주, 유승조, 윤경숙, 윤우근, 이연옥, 이완희, 이종수, 이종철, 임명웅, 임승술, 임영우, 전원규, 정동문, 정우경, 최현순, 사진작가, 서각가, 서양화가, 서예가, 조각가, 한국화가 등께서 수작(秀作)들을 보내어 이곳 대전 중구문화원 두 곳의 전시실이 예술의 향기를 진동시키고 있었던 것이다. (가나다순으로 소개했습니다)
이날 전시 오프닝 행사를 진행하기 전, '식전행사'가 진행되었는데 내빈 소개는 리헌석 충청예술문화협회 이사장이 충청예술 초대작가회 김정수 회장과 임승술 부회장, 강환춘 상임고문, 대전중구문화원 노덕일 원장, 충청서도협회 조태수 회장, 세종시 예총 임선빈 회장, 충북미술협회 유승조 전 회장, 한밭대학교 김해선 전 주임교수, 충북문인협회 김명동 회장 등을 소개하였고, 이어서 추천 위원으로 수고한 김해선 한국화가에 대한 초대작가 추대패, 김정수 회장에 대한 축하패, 강환춘 상임고문에 대한 축하패 등을 수여하였으며 이어 진행된 개막식은 김정수 회장의 인사말씀, 노덕일 문화원장의 축사, 강환춘 상임고문의 축사, 리헌석 충청예술문화협회장의 환영사 순서로 진행되었다.
초대작가로 추대된 김해선 교수의 주선으로 마련된 축하 떡 촛불 끄기에 이어, 국제적 퍼포먼서 류환 사무처장의 전위예술이 펼쳐졌는데 10여 명 내빈들을 신문지로 둘둘 말아 한 그룹을 만든 뒤, 테이프로 여러 겹 둘러서 하나를 이룬 다음에, 다함께 소리에 맞추어 틀을 해체하고 새로운 세상을 나서는 행위예술을 선보였던 것이다.
김정수 회장이 이끄는 이번 행사는 우리 고유의 전통예술인 서예와 한국화에 서양화를 비롯해 사진 기술까지 접목시킨 최대의 전시회라 아니할 수 없다. 모두들 각 분야의 내로라하는 분들로 수십 년간 이 분야에서 이름을 날리고 있는 분들이었다.
이번 전시에서 서양화가 김정수 화백은 물감과 종이에 다양한 질감으로 표현되는 작품과정을 통해 아름다운 비너스 여인상을 그려냈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니 아름다운 미모에 예리한 눈초리를 그려 방점을 찍었던 것이다. 왜 그 아름다운 미모에 예리한 눈초리를 그려 선보였을까? 마치 세상을 먼저 떠난 사랑하는 아내의 눈초리였을까? 그래서 화백의 심정을 글쟁이들은 평가할 수 없는 것이다.
보라, 아름다운 미모에 사랑하는 남편을 주시하는 듯한 여인의 모습을.
김정수 작가의 비너스상 |
일반적으로 동양화와 서양화를 구분하는 점은 재료의 차이로 보는 이도 있으나 원재료에 미디엄으로 아교를 쓰면 동양채색물감, 아라비안 검(arabic gum)을 쓰면 수채화, 기름을 쓰면 유화, 아크릴 수지를 쓰면 아크릴 컬러가 되는 것이니 엄밀히 말하자면 재료의 차이가 아니라 미디엄의 차이로 인한 스타일 즉 일종의 회화양식의 차이라 보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
그러나 동양화는 주관을 중시하고, 서양화는 객관을 중시하였다는 점이에서 차이가 난다.
보자, 이번에 전시된 서양화가 정우경의 작품을.
정우경 작가의 Past,Present and…(Picnic) |
어릴 적 엄마가 내게 뜨개질로 만들어 입히셨던 다양한 액세서리와 옷을 입고 기뻐하며 부족한 엄마의 사랑을 채웠던 기억을 모티브로 뜨개질 무늬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해 지금에 이르고 있고 작품마다 이야기를 담아내 현재의 작품세계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 정우경 그림의 특징인 것이다. 일 때문에 바빴던 엄마가 따로 떨어져 살아야했던 사랑하는 딸에게 뜨개질로 최고의 사랑을 표현했듯 사랑이 깔려 있는 작품으로 저출산 문제점이라도 지적하듯 세 자녀가 정답게 손잡고 걸어가고 있는 모습을 그려냈던 것이다. 그래서 세 자녀이기 때문에 자란 후에도 외롭지 않을 것이다. 정우경 화백, 그는 미래의 가족제도까지 내다보는 안목을 가지고 있는 화백이다. 그림을 보고 있노라니 그와 만나 저출산 문제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싶은 심정이 일어났던 것이다.
그리고 그림인 듯 사진 같고 사진인 듯 그림같이 착각할 수 있는 충청예술초대작가 신옥균 사진작가의 이 작품 연화지.
신옥균 사진작가의 연화지 |
그리고 목판화로 아로새긴 김창수 서각가의 세한도.
정교하고 세밀하게 다듬어낸 나무판 위에 마치 사진을 찍어내듯 정교한 솜씨로 아로새긴 김창수의 세한도, 어쩌면 이렇게 정교하게 판을 찍어내듯 새겨놓았을까? 눈을 의심하며 보고 또 보다가 궁금증이 풀리지 않아 작가를 찾아 설명을 들었다.
여백의 미를 사랑하는 수묵화의 특징일까? 아님 유배지에서 자신의 심경의 항변일까?
아무짝에도 소용없는 나무 조각에 손질을 하여 그의 예리한 칼끝은 여러 달을 거치는 동안 이렇게 정교한 작품을 완성시켰을 것이다.
김창수 서각가의 세한도 |
인간은 자연과 공존하고 있다. 그리고 그 자연은 생명체와 무생명체로 무한하다. 따라서 예술인으로서의 화가도 그들과의 상호관계 속에서 오묘하고 진지한 상호작용에서 모티브를 찾아 작품 활동이 이뤄진다고 하겠다.
험산 짓눌린 바위틈에서도 모질게도 뿌리 내리고 꽃피우는 감탄이 있는가 하면, 어느 폐차장 한구석에 고양이가 안식처를 잡고 공존하는 안락함(?)과, 폐기물 끝까지 오르고 또 오른 덩굴 꽃의 소담함 가운데 살아가는 생명들이 작가의 눈에 발견되어 작품화되기도 한다.
섬세하고 예리한 관찰력으로 사물을 대하는 화백 김창유는 어느 날 폐차장을 살피다 우연히 어느 폐차의 본넷트를 발견했다. 그냥 지나칠 수가 없었을 것이다. 한 때 왕성한 기운으로 질주했던 생명체와 같았던 엔진의 모습이, 지금은 심장이 멎은 채 주인도 잃고 일그러져 누워 있는 모습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리라. 그 표정은 마치 지난날에 만족하며 겸허한 모습을 짓고 있는 듯하고, 복잡한 내장 구조는 복잡하고 신기한 우리 인체의 구조 같아 실루에트 표현을 썼고, 원, 다각형과 선, 면들의 구성이 마치 아픈 상처를 잊고 미소를 보이는 듯하여 중앙 원형을 중심으로 절제된 선들로 밝은 미소를 표현하였던 것이다. 녹슬고 마모되고 일그러진 상처들은 무채색톤으로, 그래도 왕성했던 지난날들의 추억(흔적)은 보랏빛으로 살려 예술의 극치를 선보였던 것이다.
김창유 작가의 '우연의 표정'- |
이번이 두 번째 전시회라 한다. 바라건데 내년에도 후년에도 계속 이어지는 전시회로 하여금 예술을 사랑하는 대전 시민들에게 새로운 발견의 희망을 안겨주기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김용복/ 예술 평론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