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도 미술비평가 |
현재 지구상에는 수없이 다양한 플랫폼들이 존재하지만 우리가 쉽게 접하는 가장 성공적인 플랫폼으로 유튜브가 있다. 생각하기에 따라서 달리 볼 수도 있겠지만 유튜브의 주체는 구글이 아니라 동영상을 업로드 하는 개인들이다. 인터넷 기업 구글은 유튜브가 작동할 수 있는 엔진을 제공하고 동영상을 업로드 한 참여자들에게 조회 수에 따라 대가를 지불한다. 여기서 인터넷 플랫폼 시대의 중요한 개념인 '참여'에 관한 설명이 필요하다. 참여가 전제되지 않는 플랫폼은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인터넷 플랫폼 야후가 몰락한 이유는 플랫폼으로서의 가치를 버리고 컨텐츠 기업으로의 변신을 시도했고 그 변신마저 실패했기 때문이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구글은 컨텐츠를 대중들의 참여를 통해 만들어내고 그 이익을 대중과 공유하는 방법을 택한 반면에 야후는 업계의 선두주자로서 이미 훌륭한 플랫폼을 가지고 있었지만 오히려 컨텐츠의 직접생산이라는 전통 제조업 방식으로 회귀하면서 문제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다수 대중의 참여를 통해 성장하는 플랫폼의 특성을 제대로 전망하지 못한 결과라고 볼 수밖에 없다.
디지털 시대는 변화에 적응하는 속도와 일반 대중들의 참여도가 내용의 핵심적인 가치를 결정하며, 종종 우리가 전혀 예측하지 못했던 개인 생산 컨텐츠나 플랫폼들이 의외의 경제적 사회적 효용성 혹은 새로운 가치체계를 구축한다. '페이스북'은 개인의 대사회적인 표현욕구와 대인관계를 어필하며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앱으로 출발해 메신저 기능을 추가했고 2018년 기준 22억 명이 사용하고 있다. 또 다른 메신저 앱인 '텔레그램'은 이용자들에게 보안성을 담보할 수 있는 소통 수단으로 인지되면서 2019년 기준 사용자가 2억 명에 이르고 있다. 이 두 모델은 목표로 하는 플랫폼에 최적화된 몇 가지 이외에는 기능을 단순화 시켰다는 것과 사용자들이 마음껏 이용할 수 있는 소통과 참여의 공간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 수가 일정 수준을 넘어선 이후에 사용자들이 이해할 수 있고 필요로 하는 기능을 기반으로 사업적인 방향성을 만들어 내기 시작한다.
영리적이든 아니면 비영리적이든 이들 플랫폼의 공통점은 사용자들이 충분한 매력을 느낄만한 참여의 공간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인터넷 공간의 플랫폼은 관심의 커뮤니티 형식으로 출발해 진화한다. 그러므로 인위적인 사회적 경계들에 의해 구축된 물리적 실제 세계의 플랫폼과는 다른 방식으로 작동한다. 개인의 관심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커뮤니티 형식으로 진화해 최종적으로 새로운 유형의 가치 구조를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은 다양한 생각의 문화적 코드들을 기반으로 자연스러운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의미이다. 이런 면에서 우리의 생각과 활동을 소통시키는 플랫폼의 구축은 일종의 사회경제적 가치들을 포괄하는 21세기적인 문화적 관심의 표출인 것이고, 개인들 관심의 결합으로 구축된 플랫폼은 새로운 문화적, 사회적 시각을 제공하는 미래의 동력이 될 것이다. 정용도 미술비평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