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균 대전도시공사 사장 |
지난 연말 대전도시공사에서는 7명이 정년을 맞아 직장을 떠났는데 모두 베이비붐 세대였다. 이제 그 자리를 막내 베이비붐 세대나 586세대가 이어받는 중이다.
반대로 작년에 30명 넘는 신입사원을 채용했는데 상당수가 90년대 생이다. 90년대 후반에 태어난 20대 초반의 직원도 있다. 젊은 직원들이 많아지면서 당연히 조직에 활기가 돌고 패기와 자신감이 충만한 후배들을 보면서 선배들이 분발하게 된다.
대형서점과 언론사가 집계한 지난해 베스트셀러 목록 상위권에는 '90년생이 온다'는 도발적 제목의 책이 포함돼 있다. 우리 사회의 관심이 어느새 90년대에 출생한 젊은이들에게로 옮겨가고 있다.
이 책의 표지에는 '기업의 흥망성쇠를 좌우하는'이라는 부제가 적혀 있는데 아직 수적으로 많지 않고 또 기업의 의사결정에 큰 영향을 끼칠만한 위치도 아니라서 과장된 표현이라는 생각이 들지만 앞으로 10년 정도 지나면 분명 우리 사회의 중심에서 가장 생산성도 높고 소비력도 왕성한 집단이 될 것은 분명해 보인다.
2500년 전의 소크라테스가 젊은이들의 무례함을 비난했고 동양에서도 장유유서가 중요한 도덕률의 하나였다는 점은 역설적으로 기성세대가 젊은 세대에 느끼는 거부감과 경쟁의식의 뿌리가 얼마나 깊은지 보여준다.
사회가 20대와 30대에 가진 큰 불만 가운데 하나는 '일체감'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우리 세대가 받은 교육은 국가, 직장, 본인으로 순서를 정해서 공동체에 대한 책임을 강조했다. 실제로는 그렇지 않더라도 겉으로는 그런 사고로 무장하고 있음을 은연중에 내비치는 것이 필요했다.
그러나 젊은 세대로 갈수록 부등호의 방향이 반대로 바뀌어서 본인, 직장, 국가라는 부등식이 훨씬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는 듯하다.
일과 가정의 균형을 강조하는 최근의 흐름은 젊은 세대뿐 아니라 모두에게 반가운 일이고 사회 전체의 후생이 개선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필자가 주목하는 또 다른 긍정적인 모습은 이전 세대보다 뛰어난 자기표현과 업무 능력이다. 조직 내부에서 어떤 대상에 대해 호불호를 명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은 무척 위험한 행동으로 여겼지만, 지금의 젊은 직원들은 거침없이 자신의 견해를 밝히고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소통이 가능하다.
업무 능력과 습득속도는 직장인으로서 아주 중요한 평가요소인데 어려서부터 디지털 기기에 친숙하고 취업에 관련한 훈련을 받아서 업무에 적응하는 속도가 여간 빠르고 우수한 게 아니다.
조직에 대한 충성심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들리지만 자기가 좋아하는 대상에 대한 몰입도는 이전세대보다 훨씬 뛰어나기 때문에 문제가 안 된다.
풍족한 시대에 태어나서 고생을 모른다는 걱정도 있지만, 산업혁명을 거치며 200년 이상 선진국의 위치에 있는 서구 여러 나라는 풍족한 세상에 태어난 젊은이들이 더 번영된 세상을 만들어 왔다.
시간은 흐르고 무대의 주인공도 바뀌게 마련이다. 녹슨 프레임에 갇혀 젊은 세대의 장점을 외면하고 "아 옛날이여"만 중얼거리는 사회에 밝은 미래가 있을 수 없다.
오랜 직장생활 과정에서 여러 세대를 경험해 본 나의 견해는 이렇다.
"우리 젊은이들은 충분히 유능하고 건강하다. 따라서 우리 사회의 내일도 밝다."
유영균 대전도시공사 사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