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속으로]정치적인 '말잔치'의 함정

  • 오피니언
  • 세상속으로

[세상속으로]정치적인 '말잔치'의 함정

이성만 배재대 교수

  • 승인 2020-01-13 15:54
  • 신문게재 2020-01-14 22면
  • 이상문 기자이상문 기자
이재만
이성만 배재대 교수
'많이 말하지 않는 것이 많이 말하는 것.' 특히나 정치에서 쓰이는 말잔치를 두고 하는 말이다. 성서에서 "오직 너희 말은 옳으면 옳다, 아니면 아니라 하라"(마태 5:37)고 했지만, 언론 민주주의에는 '둘 다' 적용된다. 사람들, 특히나 유권자들에게 밉보이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극히 공허하고 흐릿한 빈말에 기대기를 즐긴다. 이게 정치적인 횡설수설 말잔치이다. 번지르르한 문장들로 가득한, 공허한 말잔치 말이다. 니클라스 루만도 'lingua franca'에 기대어 정치인 그들만의 통용어라는 뜻으로 'lingua blablativa'란 말을 만들어냈다.

맞는 말이다. 근래에 복지정책과 관련해서 정치인들은 '시민들에게 그들이 낸 돈을 돌려줄' 때가 되었노라고 한다. 좋게도 들린다. 하지만 흘려듣기에는 너무나 위험할 수 있다. 우리에게 사소한 것처럼 보일 수 있는 수많은 문장들은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정치인들에게는 세계에 대한 대중의 인식뿐 아니라 현실 그 자체도 입맛대로 바꿀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의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프리드리히 니체는 "새로운 이름을 만들어 내면 장기적으로는 새로운 '사건'을 만들기에 충분하다"고 했다. 어떤 이가 '말이 곧 행동'이란 뜻으로, 정치는 세상을 바라보는 일종의 안경을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세상을 재구성하는 행동양식이라고 했다.

예를 들어보자. 우리의 사회보장제도에 관련해서 복지혜택이 삭감되어야 한다고 말한다고 하자. 상대측에서는 누구나 자신에게 더 많은 혜택을 주어야 한다고 '시민들에게 그들의 돈을 돌려주자'고 말한다고 하자. 그 누구도 빼앗긴 것을 되찾는 것을 막을 방도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 표현에는 적지 않은 이데올로기가 내재해 있다. '돌려주기'란 말을 사용하는 정치인들은 개인의 일상생활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반사작용, 그러니까 누가 세금을 기꺼이 낼까라는 사실에 주목한다. 그러나 이 표현의 이면에는 민주적으로 구축된 사회복지국가의 원칙에 대한 공격이 감춰져 있다.

한편으로 국가는 시민들에게 적대 세력처럼 보일 수도 있다. 그런데 국가는 시민들로부터 거둬들인 돈으로 무슨 일을 하고 있을까. 물론 국가는 도로, 학교, 사회 복지, 대내외 안보나 부채탕감 등의 형태로 시민들에게 날마다 돌려주고 있다.



사람들은 정부의 돈 씀씀이를 좋은 이유에서 비판할 수도 있고, 또한 좋은 이유에서 정부를 투표로 선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정부가 단순히 돈을 독차지하고 있다고 주장할 수는 없다. 적어도 민주주의에서는 그렇다. 누가 봐도 우리는 민주주의 국가이니까.

그런데 시민들의 돈으로 또 다시 무슨 일을 벌이고 있다. 새롭게 재분배하고 있는 것이다. 세금을 내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돈을 버는 사람들도 당연히 학교, 도로, 사회 복지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고 또 이용해야 한다. 다시, 좋은 이유에서 우리는 훨씬 더 공정한 재분배를 바랄 수도 있다. 그러나 시민들에게 되돌려준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바라는 것이 이것일까. 아닐 것이다. 그런 사람들은 국가가 되도록 약하게 조세하는 기관, 재분배하는 기관의 역할을 하길 바란다. 그들은 모두가 자기 스스로를 배려할 때 모든 사람들이 더 잘 보살펴진다는 냉소적인 원칙을 따른다. 그리고 돌려주기를 하면 부자들이 더 많은 몫을 받게 될 것임은 자명한 사실이다. 재분배가 역행하는 셈이다.

금년은 총선의 해다. 곧 선거운동으로 정치적인 말잔치가 시작된다는 뜻이다. '돌려주기'라는 음흉한 구절도 유행할 수 있다. 결국 우리는 '말이 곧 행동'임을 보여주는 정부를 맞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되면 사회적 정의와 사회적 응집은 손상될 게 뻔하다. '시민들에게 그들이 낸 돈을 돌려준다.' 이것이 정치적인 말잔치일 뿐이라고 믿는 사람들은 선거 이후에 화들짝 놀라지는 말아야 할 것이다. 이성만 배재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2024 결산] 대전시 해묵은 현안해결 경제부흥 견인
  2. 대전시, 경제성장률 가파른 상승 "눈에 띄네"
  3. ‘거긴 주차장이 아니에요’
  4. "출산 회복 도움되기를"… 대덕구, 지역 최초 산모회복비 지원
  5. 즐거운 성탄절
  1. 대전시 청년부부 결혼장려금, 26일부터 지급
  2. "서산 부석사 불상 친견법회, 한일 학술교류 계기로"
  3. ‘온누리에 축복을’
  4. 색채의 마술사 ‘앙리 마티스’ 대전서 만난다
  5. 2023년 대전·세종·충남 전문대·대학·대학원 졸업생 취업률 전년比 하락

헤드라인 뉴스


학교 성비위 끊이지않는데… 교사 예방연수는 연 1회뿐

학교 성비위 끊이지않는데… 교사 예방연수는 연 1회뿐

대전 내 학교 성비위 사건이 잇따르는 가운데 개선은커녕 공회전을 멈추지 않고 있다. 대전교육청이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성 관련 예방연수 횟수는 연 1회에 그치고 연중 발표하려 했던 성 비위 근절 대책안도 내년으로 미뤄졌기 때문이다. 26일 대전교육청에 따르면 현재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성 관련 예방 교육시간은 연 1회 3시간뿐이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성 관련 예방교육 이수시간이 1년에 15시간인 것에 비하면 매우 적은 상황이다. 올해 대전 내 학교에서 교사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성 비위 사건 중 공론화된 건은 초·중·고 1..

AI 디지털 교과서 논란...전국 시도교육감 엇박자
AI 디지털 교과서 논란...전국 시도교육감 엇박자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 명의의 건의문이 17개 시·도 간 입장 조율 없이 제출돼 일부 지역의 반발을 사고 있다. 최교진 세종시교육감은 12월 26일 이와 관련한 성명을 통해 "우리 교육청은 그동안 AI 디지털 교과서의 현장 도입에 신중한 접근을 요구해왔다. 시범 운영을 거쳐 점진적으로 도입하자는 의견"이라며 "AI 디지털 교과서를 교육자료로 규정하는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에 대해서도 찬성한다"란 입장으로 서두를 건넸다. 이어 12월 24일 교육감협의회 명의의 건의문이 지역 교육계와 협의 없이 국회에 제출된 사실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맑은 날씨에 대전 해넘이·해돋이 둘다 볼 수 있다
맑은 날씨에 대전 해넘이·해돋이 둘다 볼 수 있다

12월 31일과 2025년 1월 1일 오전까지 대전은 대체로 맑은 날씨를 보여 올해 마지막 해넘이와 새해 첫 해돋이를 감상할 수 있겠다. 기상청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연말연시 날씨 전망을 26일 발표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오는 1일 오전 주요 도시별 해돋이 시간은 독도 7시 26분, 부산 7시 32분, 대구 7시 36분, 제주 7시 38분, 강릉 7시 40분, 광주 7시 41분, 대전과 청주, 전주 7시 42분, 서울은 7시 47분께다. 이날 오전 충청권은 대체로 맑지만, 충남 서해안 주변 일부 지역은 구름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달콤해’…까치밥에 빠진 직박구리 ‘달콤해’…까치밥에 빠진 직박구리

  • 색채의 마술사 ‘앙리 마티스’ 대전서 만난다 색채의 마술사 ‘앙리 마티스’ 대전서 만난다

  • 즐거운 성탄절 즐거운 성탄절

  • ‘거긴 주차장이 아니에요’ ‘거긴 주차장이 아니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