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혁 작곡가 |
음악은 선율을 어떻게 다루냐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한다. 그것은 주선율을 담당하는 성부를 다른 성부가 화성 적으로 보조하는 '단성음악'과 주선율을 각 성부들이 대등하게 연주하는 '다성음악'이다. Fuga는 다성 음악에 속한다. 여기서 성부란 고음, 중음, 저음 파트를 담당하는 파트를 말하며 이를 성악이나 기악이 연주한다. 성부 수에 따라 2성. 3성. 4성 등으로 부른다.
먼저 Canon(카논: 돌림노래)이다. 돌림노래란 선율이 끝나기 전에 같은 선율을 다른 성부에서 반복하여 연주하는 것이다. "안녕"이라는 동요를 불러보자. "①우리 서로 학교 길에 ② 만나면 만나면 ③ 인사 나눕시다. 인사 나눕시다. ④ 얘들아 안녕 얘들아 안녕" 이 곡을 돌림노래로 불러보자. 연주자를 4성부로 나누고 제 1성부가 ①을 지나 ②를 시작할 때 제 2성부가 ①을 시작한다. 제 2성부가 ② 지날 때 제 3성부가 ①을 시작한다. 제 3성부가 ②를 지날 때 제 4성부가 ①을 시작한다. 이렇게 제 4성부가 마칠 때까지 모든 성부는 선율을 계속 반복하여 연주한다. 이렇게 카논은 똑같은 선율이 반복되므로 순환적인 성격 띤다. 카논의 유명한 곡으로 Johann Pachelbel(요한 파헬벨)의 'Canon and Gigue(케논과 지그)'와 동요 '안녕'처럼 단순한 선율이 반복되는 G. Mahler의 '교향곡 1번의 3악장 도입부'가 있다.
이제 Fuga(푸가)다. Fuga는 "질주한다"는 이태리어에서 유래했다. Canon의 발전된 형태이나 순환이 아닌 열린 성격을 갖고 있다. Fuga는 마치 한 주제를 놓고 여러 사람이 원탁에 모여 열띤 토론하는 것과 같다. 푸가에는 처음 제시되는 주선율과 그 선율을 받아서 연주하는 모방(응답)선율이 있다. 이를 주제와 모방 또는 주제와 응답이라고 한다. 성부 수에 따라 2성, 3성, 4성 Fuga라고 한다.
주제가 나오고 이를 받아서 나오는 다른 성부의 모방 선율은 처음과는 다른 위치에서 시작한다. 예를 들어 주선율이 '도' 위치에서 시작했다면 모방 성부에서는 '솔'에서 시작한다. 이런 시작점의 차이는 선율과 화성진행에 극적인 긴장감이 있는 역동성이 갖게 한다. 이 역동성은 곡의 장대한 결말에 사용된다. 그리고 결말은 종종 강한 '희망'으로 표현된다.
Fuga가 사용된 작품을 몇을 소개 한다. 먼저 Handel의 'Messiah'중 마지막 곡 'A-men Chorus'다. 예수님의 탄생, 고난과 부활, 재림의 오라토리오의 장대한 마지막을 장식하며 앞으로의 희망을 표현한다. Fuga기법으로 작곡된 최고봉이라 할 수 있다. Beethoven의 '교향곡 9번 4악장의 중간부분'에선 우리에게 익숙한 선율이 푸가로 변하여 인류의 환희를 극적으로 노래한다. 그리고 Fuga의 대가 Bach의 'Toccata and Fuga(토카타와 푸가)'다. 젊은 Bach의 열정과 패기로 부터 분출되는 에너지가 느낄 수 있다.
Fuga에는 목표를 즉 정점을 향해 끊임없이 진행하는 성격이 있다. 이를 위해서 각성부가 선율과 화성면에서 독자적이면서도 상호 보완하여 움직이며 정점에 도달한다. 2020년의 목표를 향해 달리기 시작한 지금 Fuga야 말로 독자들에게 큰 힘이 되어 줄 거라 믿는다. 위에 열거한 음악으로 삶의 에너지를 충전하자. 그리고 달리자. Fuga와 함께 2020년의 희망을 향해
안성혁 작곡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