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 관계자는 "시공사가 사후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 "시공사가 재개발이 처음이어서 능력이 부족하다" 등 계약해지에 대한 여러 가지 이유를 쏟아냈지만, 결국 대형 건설사 브랜드가 아니기 때문에 계약을 해지한다는 말이었다.
"완벽한 계약해지가 아니다. 계약을 해지한 후 컨소시엄 형태로 사업을 추진하려 한다. 현재 시공사의 지분을 확보해줄 것"이라고 조합 관계자는 덧붙였지만, 지역 업체는 주관사가 될 수 없다는 완곡한 표현으로 들렸다.
대전지역 재개발·재건축 시장이 침체 돼 있던 지난 2015년. 해당 재개발조합은 시공사 선정에 어려움을 겪었다. 입찰을 진행했지만, 건설사들이 입찰에 참여하지 않았다. 입찰은 세 번이나 유찰이 됐고, 결국 조합은 현재 시공사와 수의계약 형태로 시공사 선정을 완료해 재개발을 사업을 진행할 수 있었다.
하지만 함께해 온 건설사에게 조합이 전한 것은 계약해지. 이에 대해 건설사 관계자는 열변을 토해냈다.
재개발사업이 활성화되지 않았을 당시 계약을 체결해 조합과 함께 사업을 추진해왔는데, 대전지역 재개발·재건축 시장이 활성화되고 건설 경기 악화로 대형 건설사들이 대전에 눈을 돌리기 시작하자 갑자기 브랜드 아파트를 찾는다고.
만약 조합이 계약을 해지한다면 특별한 사유 없이 임의로 계약을 해지하는 것에 해당하기 때문에 법적인 대응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오랫동안 사업을 진행해왔기에 조합원들에게 설명하고 원만히 이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고도 했다.
안타까웠다. 시작부터 시공능력이 뛰어난 건설사는 없다. 엄청난 브랜드가 처음부터 있었던 것도 아니다. 지역에서 하나하나 쌓아 올린 경험이 대형건설사를 만든다.
아기가 태어나자마자 뛰는 것을 본적이 있는가? 하지만 냉혹한 현실 속에 지역 건설사가 발전할 수 있는 발판이 너무나도 없다.
현재 건설사는 조합원들에게 시공사가 교체될 경우 지역 업체 용적률 인센티브가 삭제돼 조합원에게 피해가 돌아간다고 설득을 하고 있다고 한다.
과연 이 설득이 조합원들의 마음을 돌릴 수 있을까. 미미한 지역 업체 참여 용적률 인센티브보다 대형 브랜드가 더욱 가치가 있다는 건 그들도 알고 있을 텐데.
타지의 대형 건설사가 대전 재개발·재건축 시장에 쏟아지고 있는 현재. 있으나 마나 한 용적률 인센티브를 지역 건설사 활성화 대책이라 내놓고 방관하고 있다가는 지역 업체 모두 대형건설사의 등판만으로 나가떨어질 게 눈에 훤하다. 지자체, 지역 건설업체 모두가 머리를 맞대고 특단의 대책을 세워야 할 시점이다.
김성현 기자 larczar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