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 소식을 접하면 '자살할 힘으로 살아가지….' '힘들다고 이야기하지…'라는 말을 한다. 하지만 그 사람들은 자살하기 전에 힘껏 도와달라는 이야기를 했을 것이다. 다만 우리가 알아보지 못했을 뿐이다.
자살 소식을 접하면 안타까운 마음에 '힘들다고 이야기하지…', '어떻게든 살아보지…' 라고 말한다.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은 그들만의 방식으로 SOS 신호를 보낸다. 다만 우리가 그 신호를 알아채지 못했을 뿐이다.
자살을 하려는 사람은 '자살예견신호'를 보인다. '한국형 표준자살예방교육 프로그램' 자료에 따르면 자살 징후 또는 자 '언어적 신호', '행동적 신호', '상황적 신호'를 보인다고 한다.
언어적으로는 죽고 싶다는 직접적 표현, 신체적 불편함 호소, 절망감과 죄책감, 집중력 저하, 감정의 우울을 보인다.
행동적으로는 자살을 준비, 자해흔적, 전에없던 행동, 외모의변화 등을 보인다.
상황적으로는 심한 감정노동에서 오는 스트레스, 해고, 실직, 업무상 급격한 변화, 만성질환으로 고통받는 사람, 가족이나 사랑하는 사람의 상실이 있다.
이런 상황을 접하면 당황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럴 때는 자살에 대하여 명확하게 묻고 이야기를 적극적으로 듣는다. 그리고 살고자 하는 조그만 희망이라도 강조하고 공감해 줘야 한다. 단 문제의 축소, 회피, 비난, 충고, 해결책 제시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적극적인 경청을 하며 '많이 힘들었구나… 혹시 자살에 대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던 거야?'같은 말을 건네야 한다.
여러 사회복지기관에서도 자살 예방을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중앙자살예방센터, 광역자살예방센터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종교지원기관, 법률지원, 국방부조사본부 등이 있다. 대전에는 대전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예방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각 구의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24시간 전화상담을 받을 수 있는 자원으로 자살예방상담전화 1393, 청소년전화 1388, 정신건강상담전화 1577-0199, 한국생명의전화 1588-9191가 있다.
김석겸 명예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