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에게 2019년 최고의 영화는 <조커>였습니다. 주인공 아서의 슬픔과 분노는 우리 시대 많은 이들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힘겨운 삶의 노정이 강고한 계층 구조 속에 좌절될 때 그는 계단 위에서 춤을 추었습니다. 지난해 영화 <버닝>에서 보았던 해미의 춤이 떠오릅니다. 웃고 있어도 눈물이 난다는 조용필의 노래 한 대목도 생각납니다. 배트맨이 상징하는 선의 승리 판타지보다 조커로 표현되는 악의 이면에 자리한 극한의 현실적 분노와 비애가 더 가슴을 칩니다.
<기생충>은 여러 면에서 <조커>와 유사합니다. 가난한 이들의 슬픔과 분노가 악으로 표출됩니다. 하지만 누구도 기택 일가족의 범죄 행각에 쉽사리 돌을 던질 수 없습니다. 선한 의지와 노력만으로 극복되지 않는 사회적 모순과 부조리를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주제의식과 표현, 완성도 면에서 훌륭한 반면에 이 영화의 작품 외적 상황은 비판받아 마땅합니다. 국제영화제에서 상을 받고, 와이드 릴리즈로 배급되어 흥행에 성공한 일련의 과정이 작품 속에 전시된 빈자(貧者)의 비극과 이율배반적인 까닭입니다. 결국엔 투자, 배급, 상영 전체에 걸쳐 있는 거대 기업 자본에 기여했을 뿐입니다.
<그린북>은 60년대 미국 사회의 흑인 차별 문제를 깊은 사유와 통찰력을 통해 표현한 작품입니다. 로드무비 형식으로 이탈리아 출신 백인 기사와 저명한 흑인 피아니스트의 남부 연주 여행을 보여줍니다. 인종, 계급, 출신, 지식 등 수많은 외피 안쪽 가장 깊은 곳의 휴머니즘을 드러냅니다.
<벌새>는 1994년 중학교 2학년이었던 은희의 이야기입니다. 20여 년 시간에 의한 망각과 보통의 평범함이라는 봉합을 깨고 그 시절 겪었던 고민과 아픔을 되새깁니다. 마치 거울과도 같은 카메라는 성인이 된 은희 자신의 시선입니다. 다시 문을 두드리는 은희를 통해 관객 역시 지난 세월 잊고 있던 성장의 과정을 되돌아보게 됩니다.
<미성년>은 배우 김윤석의 연출 데뷔작입니다. 미숙한 어른들과 성숙한 아이들이 섬세한 연기 속에 대비됩니다. 나이를 먹어도 욕망에 이끌리는 어른들, 어려도 생명의 소중함을 귀히 여기는 아이들을 통해 그냥 사람일 뿐 단순하게 규정할 수 없는 인생인 것을 깨닫습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